내전은 모든 역사적 단계에서 고대 그리스의 고질적인 현상이었습니다. 미케네 왕가가 그리스를 지배하기 전에는 다른 아카이아 왕국과 치열한 싸움을 벌여야 했습니다. 먼저 펠로폰네소스 왕국이, 나중에는 나머지 그리스 왕국과 싸워야 했습니다. 테베에서 태어난 미케네 민족 영웅이자 도리아인(헤라클레이데스)의 조상인 헤라클레스의 신화는 이 점을 밝혀 줍니다.
일리아 왕 아우게아스의 마구간 청소에 관한 신화는 전자의 승리로 끝난 미케네와 일리아스의 전쟁과 관련이 있다. 이 지역의 왕조는 폐위되었고 국가는 미케네의 "수호" 하에 놓이게 되었습니다.
전설에 따르면 그의 승리를 기념하여 헤라클레스가 올림픽 게임을 창시했다고 합니다. 북부 펠로폰네소스 반도의 통제권을 확보한 미케네인들은 메시네인들에게 등을 돌렸습니다. 메시니아인들은 패배했고 그들의 왕 닐레아스는 살해당했습니다. 그의 막내아들 네스토르가 그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올랐습니다.
남은 것은 라코니아 정복뿐이었다. 이는 아케이드의 도움으로 달성되었습니다. 그리고 여기서 히포(Hippo)의 옛 왕조가 무너지고 헤라클레스의 절친한 친구인 틴다레오스(Tyndareos)가 왕이 되었습니다. 미케네 왕 에우리스테우스(Eurystheus)의 홀 아래 펠로폰네소스 전체가 정복되었다는 사실은 이제 사실이 되었습니다. 본질적으로 이러한 발전은 기원전 13세기 초에 이루어진 것으로 추정됩니다.
Rhodes의 Apollodorus와 Pausanias는 이러한 사건이 완전히 사실이라고 간주하여 광범위한 보고서를 작성합니다. 그들의 신화적 묘사가 정확한지 여부에 관계없이, 실제로 일어났고 미케네가 최초의 펠로폰네소스 세력으로 선언되게 된 전쟁을 묘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러나 거기서부터 또 다른 고대의 강력한 도시인 테베와의 경쟁이 시작되었습니다.
기원전 13세기의 테베. 그리스 중부에서 가장 강력한 도시, 도시 연합의 수장 또는 구성원이었습니다. 이 도시는 아마도 민얀 가문의 왕이 통치했을 것입니다. 미냐족은 아마도 이오니아 종족이었을 것입니다. 즉, 그들은 인종적으로 미케네족과 관련이 있으며 최초의 신석기 문명인 세스클루스(Sesklus)와 디메니우스(Dimenius)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Jason의 Argonaut 원정대의 리더는 Minyas 출신이었지만 대부분의 Argonauts는 미케네인이었습니다. 헤로도토스와 로도스의 아폴로니우스는 둘 다 미냐 가문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Herodotus에 따르면 Lemnos의 주민들도 Minyas였습니다. 기원전 2,000년부터 미니아 가문은 보이오티아, 마그네시아의 일부, 프티오티다, 포키스를 중심으로 보이오티아 오르코메노스를 지배했습니다. 기원전 13세기까지 이 국가는 미케네의 전능함을 무시할 만큼 강력했습니다. 두 연합은 서로 경쟁하면서 행동하고 기능했기 때문에 갈등이 발생하는 데는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았습니다.
이 전쟁은 역사적으로 기록된 그리스에서 발생한 최초의 전쟁으로 간주되어야 합니다. 호머는 그의 서사시에서 그에 관한 많은 사실을 우리에게 제공합니다. 발병을 초래한 이유는 왕조적이고 경제적인 것이었습니다.
전통에 따르면 아르고스의 왕 아드라스토스가 오이디푸스의 아들인 에테오클레스의 형제에 맞서 그의 사위 폴리네이케스를 도왔을 때 이 기회가 주어졌다고 합니다. 그와 동시에 펠로폰네소스 반도에서도 똑같이 중요한 사건이 일어나고 있었습니다.
헤라클레스가 죽은 후 미케네 에우리스테아스의 왕은 영웅의 후손들을 펠로폰네소스에서 추방했습니다. 힐로스(Hyllos)가 이끄는 그들은 아테네로 도망갔다. 에우리스테우스는 아테네를 상대로 캠페인을 벌였을 때 메가라 근처에서 헤라클리데스와 아테네 연합군에 의해 패배하여 살해되었습니다.
따라서 페르세우스 왕조는 미케네에서 사라졌고, 현재 아트레우스가 왕좌에 올랐습니다(미케네에서 파괴된 증거로 알 수 있듯이 기원전 1280년경). 헤라클레이오스인들은 마침내 테베로 도망쳤다. 그 이후로 그들은 정기적으로 조상의 땅으로 돌아가려고 시도했습니다. 처음 시도했을 때 그들은 패배했고 힐로스는 살해당했습니다.
그들의 추가 하강을 막기 위해 아트레우스는 지협(기원전 1,250년경)을 요새화했는데, 이는 이 지역에서 발견된 사이클롭스 요새의 유적에서 알 수 있습니다. 그래서 폴리네이케스가 테베의 왕좌를 차지하자 펠로폰네소스인들은 절호의 기회를 찾아 테베를 공격했습니다.
Argios Adrastos가 작전 책임자로 임명되었습니다. Arcadian과 Aetolian 군대도 작전에 참여했습니다. 펠로폰네소스인들은 테베 앞에 도착하여 테바이인들에게 그들의 요구를 들어줄 것을 요청했습니다. 그러나 그들의 제안은 받아들여지지 않았고 전쟁이 시작되었다. 펠로폰네소스군은 공격했지만 격퇴당했다. 그러자 테베인들은 포키아와 오르코메니아 동맹의 도움을 받아 반격했습니다.
그러나 도시 근처 이스메니아 언덕에서 벌어진 전투에서 테바이와 그 동맹군은 대패하고 그들의 군대는 성벽 안으로 철수했습니다. 펠로폰네소스군은 다시 도시를 공격했으나 다시 격퇴당했고, 군대 지도자 두 명인 카파네우스(Kapaneus)와 암피아라오스(Amphiaraos)가 살해당했다. 두 형제인 에테오클레스와 폴리네이케스 사이에 결투가 벌어졌으나 둘 다 죽고 갈등은 결론에 이르지 못했습니다.
펠로폰네소스인들은 아드라스토스를 제외한 나머지 지도자들이 살해될 때까지 무익하고 피비린내 나는 공격을 계속했습니다. 후자는 포위 공격을 포기하고 펠로폰네소스 반도로 돌아왔는데, 먼저 아테네 왕 테세우스에게 펠로폰네소스 전사자들의 매장을 요구해 달라고 요청한 후, 테베의 새 왕 크레온은 이를 매장하지 않은 채로 두라고 명령했습니다.
실제로 테세우스는 테베인들을 압박하고 죽은 펠로폰네소스인들을 받아 매장했습니다. 그리하여 "테베의 7인" 캠페인은 끝났고, 펠로폰네소스인은 패배했지만 테베인에게 펠로폰네소스 침공을 시도할 권리를 부여할 만큼 압도적이지는 않았습니다.
그러나 펠로폰네소스인들은 끈질기게 버텼고 몇 년 뒤에도 테베에 대한 공격을 반복했습니다. 이번 작전은 첫 번째 작전에서 사망한 지도자들의 후손들이 주도했으며, 그들 모두는 나중에 트로이 전쟁에 참여했습니다. 소위 "후손 캠페인"은 원하는 결과를 가져 왔습니다. 메세니아인, 코린티아인, 메가리아인, 아르카디아인, 아르고스인의 연합군은 글리산타 전투에서 테베인을 격파하고 도시를 장악했습니다.
미케네의 최종 승리와 이 잔인하고 긴 전쟁 이후, 아트레우스의 후계자 아가멤논은 그리스 남부, 중부, 서부 전체의 절대적인 통치자로 남았습니다. Theban 패배의 또 다른 중요한 결과는 Heraklides가 더 북쪽으로 비행했다는 것입니다. 나중에 기나긴 일리아데스(트로이) 전쟁이 끝나고 미케네인의 세력이 약해지면 헤라클리드인들은 고국으로 돌아가 의도치 않게 "도리아인의 강림"에 관한 신화를 창조하는 데 기여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