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형
동굴/대피소일반 조건
탐 프라 보살(Tham Phra Bodhisattva)은 "카오 남푸(Khao Nampu)" 또는 "카오 남 톡(Khao Nam Tok)"으로 알려진 석회암 산에 있는 동굴로 북서-남동 방향에 위치해 있습니다. 왓 탐 프라 보살(Wat Tham Phra Bodhisattva) 지역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이 사원은 1979년에 건립되었으며 1985년에 위성 캄 시마(Wisung Kham Sima)를 부여받았습니다.)
보살동굴 지상에서 약 60m 정도 떨어져 있으며, 동굴의 입구는 남서쪽에 있습니다. 파삭강에서 동쪽으로 약 14.5km, 화이무악렉에서 서쪽으로 약 6km 거리에 위치해 있다.
보살동굴은 크고 작은 6개의 부스로 구성되어 있는데, 하나는 입구 옆 부스로 벽에 조각이 새겨져 있다. 길이 22.5m, 너비 19m(다른 부스 크기는 각각 13.9x11m, 8.5x32m, 12.6x24.5m, 18.6x11.6m, 8x4.7m)로 조명이 가장 밝은 부스입니다. (아마라 스리스차트 1991:32)
입구 옆 부스 또는 부스 중앙 벽에 그림이 새겨진 첫 번째 부스. 금으로 칠하고 석고 바닥에 금박을 입힌 작은 탑이 있습니다. 타일 현재 지어진 탑입니다.
평균 해발 높이
150미터수로
파삭 강, Huai Muak Lek
지질학적 조건
보살동굴은 수본암(Subbon rock)의 석회암 언덕에 위치해 있습니다. 사라부리 석층 페름기 카오야이 또는 동파야옌 산맥과 가깝거나 연속적으로 있는 산이다.
사라부리 암석군은 사라부리 지방 동쪽의 긴 선을 따라 퍼져 있는 것으로 발견됩니다. 카오야이 파놈 동락 산맥(Khao Yai Phanom Dong Rak Mountains)에서 코랏 고원(Korat Plateau) 가장자리와 평행하게 이어지며 사라부리(Saraburi) 지방의 동쪽과 남쪽의 산으로 분산되어 있습니다.
고고학 시대
선사시대, 역사시대시대/문화
드바라바티, 석기시대?고고학 시대
불교 11-14세기(중요한 고고학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 참조)고고유적 유형
종교적인 장소고고학적 본질
"탐 프라 응암(Tham Phra Ngam)" 또는 "탐 카오 남 푸(Tham Khao Nam Phu)"로도 알려진 탐 프라 보살(Tham Phra Bodhisattva)은 입구 옆 부스로 벽에 조각된 이미지가 있는 크고 작은 6개의 부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길이 22.5m, 너비 19m(다른 부스 크기는 각각 13.9x11m, 8.5x32m, 12.6x24.5m, 18.6x11.6m, 8x4.7m)로 조명이 가장 밝은 부스입니다. (아마라 스리스차트 1991:32)
입구 옆 부스 또는 부스 중앙 벽에 그림이 새겨진 첫 번째 부스. 석고 기반 위에 금박 탑이 있습니다. 타일 현재 지어진 탑입니다.
미술부(Mor Por.)의 정보에 따르면 이 동굴이 처음 발견되었을 때 동굴 내부에서 석기가 발견되었다고 합니다. 선사시대에도 사람이 있었고 드바라바티(Dvaravati) 시대의 초기 역사까지 계속되었을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동굴 벽에 있는 부처와 신의 낮은 부조 조각에서 볼 수 있듯이 금박을 입힌 사랑의 부처 이미지와 같은 동굴 내부에는 다른 유물도 있습니다. 사암 불상 잔해
동굴 내부의 가장 중요한 증거는 첫 번째 부스의 북쪽 벽에 있는 부조입니다. 동굴 바닥에서 3.27-5.35m 높이에 위치하며 사진의 범위는 3.3 x 2.08m입니다(Amara Srisuchart 1991)
다양한 포즈를 취한 6장의 초상화로 일러스트가 그려져 있습니다. 의상과 기타 장신구를 갖춘 그림 속 사람의 모습은 부처님께서 법을 설하실 때의 이야기를 담은 조각상으로 추정됩니다. 신들은 법을 보고 듣기 위해 왔습니다. 이번 행사에도 중요한 힌두교 신이 등장했습니다.
(관찰자의)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순서대로 6장의 초상화는 다음으로 구성됩니다(Amara Srisuchart 1991:30-35)
사진 1 크기:높이 1.42m, 파스타싱 왕좌 위에 유럽식으로 다리를 늘어뜨린 채 앉아 있는 부처의 모습을 묘사하고 있으며, 두 발은 연꽃 위에 놓여 있습니다. 그는 그에게 비스듬한 담요를 들고 있었습니다. 그는 눈앞에서 줄무늬를 가지고 노닥거리는 남자를 볼 수 있었다. 그의 두 손은 부처님의 가슴에 닿기 위해 높이 올려졌습니다. 그의 왼손은 옷자락이나 옷자락을 잡고 있습니다. 그의 오른손은 비크라카크무트라(Vikrakakmutra)라고 알려진 몸짓으로 손가락을 꽉 쥐고 있는데, 이는 법 차크라를 설하는 자세였습니다. 얼굴은 타원형이고 귀는 길며 거꾸로 약간 볼록합니다. 프라바왈리(Prabhawali)는 1층 머리 부분을 중심으로 한 원으로, 몸체 주위에 커다란 프라파왈리(Prabhawali)가 자리잡고 있습니다. 이는 다음 2신의 Prabhawali와 연결됩니다.
사진 2 높이 1.07m의 신이 오른발을 매달고 캐주얼한 자세(리타사나)로 떠 있는 모습을 묘사하고 있습니다. 얼굴에는 긴 양끝 줄무늬의 천이 걸려 있고 왼손에는 구슬 다발이나 화환이 걸려 있습니다. 오른팔 수직 부처님에게 법을 설하라고 권유하거나 권유하는 것과 비슷한 자세로 부처님에게 손을 뻗습니다. 타원형 얼굴은 타원형입니다. 대부분의 학자들은 그것이 시바 경이라고 가정합니다. 왜냐하면 시바 경의 상징은 머리와 머리카락 중앙에 있는 롤빵이기 때문입니다. 초승달 모양으로 머리를 장식하고(Sakchai Saising 2004:215), 브라흐마라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있습니다(Thanit Yupho 1966:12).
Keera Chatikavanich(2002:57)는 두 번째 그림의 신이 탁시나무르티 지역의 시바일 수 있다고 제안했습니다.
사진 3 크기:높이 1.82미터, 엉덩이에 서 있는 신(트리팡)을 묘사하며, 4개의 팔, 오른손에 차크라에 두 팔, 왼손에 소라가 있고 다른 두 팔은 교차된 비슈누로 이해됩니다. 가슴. (Swasdika Mudra) 공손한 몸짓으로 (Sakchai Saising 2004 :215) 옆에 주름 장식이 달린 밑단을 입습니다. 그의 머리카락은 왕관을 쓴 것만큼 길었습니다.
사진 4 높이 0.55미터 크기가 가장 높은 이미지입니다. 날아다니는 천사의 이미지입니다. 왼쪽 다리를 올리고 천의 가장자리를 들어올린 상태에서 두 팔을 몸 안쪽으로 구부립니다. 날아다니는 자세로 머리를 가운데로 가르고 리본을 달고
그림 5 크기 0.24m. 작은 그림이다. 4번째 사진 아래 3번째와 6번째 사진 사이에 웅크린 여성 자세가 있습니다. 머리카락은 머리 중앙에 있는 롤빵입니다. 가슴과 허리가 보이고, 두 팔은 앞으로 뻗어 있고, 손은 땅에 닿고, 머리는 부처님이 앉아 계신 곳을 향해 숙여져 있습니다. 마치 절을 하거나 공경하는 마음으로 법을 듣는 것처럼.
사진 6 높이 0.96미터, 앉은 자세로 날아다니는 천사를 묘사합니다. 왼쪽 다리는 뒤쪽에 수직으로 들어 올려졌습니다. 오른쪽 다리가 앞으로 구부러져 있습니다. 천 아저씨는 얼굴을 옆으로 숙였습니다. 그의 왼손은 가슴 사이에 있습니다. 오른쪽 앞으로 그분의 손은 물건이나 화환을 쥐고 있는 것과 같습니다. 부처를 숭배하는 것임을 이해하십시오. 머리카락은 가운데에서 두 갈래로 갈라져 활을 쓰고 있습니다. 맨 오른쪽 그림입니다. (시청자의)
예술 스타일, 신념 및 연령 결정에 대한 연구
스리사콘 완리포돔 (1989:58-62)은 고대 팔라바 문자로 새겨진 프라푸타바트 지역의 탐 카오 웡(Tham Khao Wong)의 비문을 고려하면 이 지역은 12세기 불교세기부터 느린 속도로 랑카와 접촉해 온 공동체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몬어는 "당시 수도이자 종교 중심지였던 아누라다푸라"를 언급했다.
부처님 발을 걸고 앉으신 조각상의 특징. 그리고 비슈누 경의 왕관과 서 있는 자세를 포함한 시바의 헤어스타일 이 조각들은 모두 이 이미지를 조각한 사람들이 평범한 현지 기술자가 아닌 지식이 풍부하고 예술과 미학을 아주 잘 이해하는 능력을 보여준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MJ 수파트라딧 디스쿤 (1996:43)은 석굴시대 보살의 조각품이 불교 13~14세기경에 발견되었다고 제안했다
그는 또한 힌두교 신, 즉 시바(Shiva), 브라흐마(Brahma) 또는 비슈누(Vishnu)에 대한 묘사를 묘사했습니다. 이 보살동굴에 조각된 부처님의 법문을 들으러 오세요. 이는 당시 불교가 힌두교보다 신자 수가 더 많았음을 보여주는 증거입니다(Amara Srisuchart 1991:35).
아마라 스리스차트 (1991:34-35)은 보살석굴의 벽에 새겨진 조각이 불교에서 이야기를 전하는 것으로 묘사되었다고 기술하고 있다. 아마도 신들이 와서 종교를 설파하거나 세상의 모든 존재를 기쁘게 하기 위해 "달마의 수레바퀴를 돌려라"고 요청했을 때였을 것입니다. 그리고 그가 법을 설할 때 큰 신들과 신들과 인간들과 마귀들과 귀신들이 법을 들으러 왔습니다. 대승불교의 역사를 보여주는 경전인 랄리트비스트라(Lalitvistra)에 자세히 나와 있듯이, 당시 이 경전에 대한 지식이 널리 퍼져 있었다는 사실을 이해하고, 신들이 종교를 전파하겠다고 맹세할 때 고려한다면 두 번째 그림의 신의 모습 불상 옆에는 아마도 브라흐마(또는 마하 브라흐마 식히)가 있을 것입니다. Lalitvistra 경전에 따르면) 다른 브라흐마 신들과 함께 Aradhana를 보러 왔습니다. 그러나 그가 법을 설할 때로 생각하면 큰 신이 법을 들으러 오셨느니라. 사카라(인드라), 브라흐마(또는 세상의 신들) 및 기타 신들이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Suttavas deva의 최고 통치자인 Mahesuan(Phra Shiva)을 포함합니다. 이 이미지(사진 2)는 브라마(Brahma) 또는 시바 경(Lord Shiva)을 표현한 것일 수 있습니다. 경전에는 비슈누의 이름이 언급되어 있지 않지만, 세 번째 그림에는 부처님의 설법에 경의를 표하는 비슈누의 모습이 담겨 있습니다.
예술의 성격으로 볼 때 그것이 드바라바티(Dvaravati) 스타일의 예술임을 알 수 있습니다. 불상은 불교 13~14세기경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되며, 보좌에 앉아 발을 걸치고 이렇게 법자세로 앉아 있는 불상을 조각한 것으로 추정된다. 초기 크메르 예술인 탓 파놈 푸난(That Phanom Funan)의 사리탑 바닥에 새겨진 이미지와 유사합니다. 이 자세의 부처상만이 청동으로 나타납니다. 싱부리 주 부리 시의 한 고고학 유적지에서 발견되었으며, 이는 중부 지역의 중요한 드바라바티 문화 유적지입니다. 다른 예술적 특징 예를 들어, 이 조각에 나오는 신과 천사의 헤어스타일입니다. 이는 앞서 언급한 불교 세기에 유행했던 드바라바티 예술 스타일입니다(Amara Srisuchart 1991:35).
파숙 인타라웃 (1999:166) 조각은 불교가 바라문교에 대해 큰 힘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이는 팔라 왕조(불교 14-17세기)의 후원 하에 인도 북서부에서 성장한 대승 탄트라 불교도들의 신앙입니다.
케라 자티카바니치 (2002:57)은 두 번째 그림에서 왕좌에 새겨진 악샤말라(Akshamala)를 들고 있는 시바의 이미지가 탁시나무르티 지역의 시바를 의미할 수 있음을 시사했다. (예언자를 언급함) 인도의 팔라바 왕조의 조각품. 이는 힌두교 브라만인들이 불교 선지자들의 가르침을 받아들인다는 의미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아바이무드라와 유사한 자세를 보이는 시바 경의 특징 그의 왼손은 성직자의 상징인 악샤말라를 쥐고 있습니다. 왕의 밑부분에 천을 활로 묶고 긴 밑단을 남기고 남인도 콘지바람 시 탁시나 무르티의 시바 동상과 유사함.
세 번째 사진의 비슈누 또는 비슈누는 오른쪽 위쪽 손에 차크라를 들고 왼쪽 위쪽 손에 소라를 들고 있습니다. 이는 인도 남부 지역의 특징입니다. Swastika mudra의 특징은 Kal의 Viharn에 있는 입상 불상과 같은 인도와 스리랑카 예술에서 발견됩니다. 그리고 Ratchaburi 지방의 Tham Fa Tho에 있는 Dvaravati 예술을 포함한 Tiwanga Viharn의 그림(Kera Jatikavanich 2002:57-58), 매듭으로 묶인 불상의 베일은 굽타 스타일과 굽타 뒤에 있는 인도 예술에서 흔히 볼 수 있습니다(Kera Jatikavanich 2002:57-58). 수 파타라디스 디스쿨 1994)
이러한 조각품은 불교가 브라만교보다 위대하다는 드바라바티 신앙의 일부를 보여줍니다. 이는 북인도에 널리 퍼진 대승불교의 모토입니다(Kera Jatikavanich 2002:59)
위치 요소는 드바라바티(Dvaravati)와 크메르 예술 사이의 신념의 포인트입니다. 특히 12~14세기 불교세기의 고대 크메르 제국에서 시작된 소승불교, 대승불교, 바라문교 간의 경쟁에 영향을 받았습니다.
삭차이 사이 싱 (2004:215-219)는 이 조각품이 부처님이 시바와 비슈누에게 설법하는 모습이라고 말했습니다. 천사와 사람들이 듣기 위해 오는 모습은 소승불교의 모든 경전에 나타날 수 있습니다. 또는 대승 바탄트라(바즈라야나)의 조합일 수도 있는데, 이는 비슈누 경의 바간과 주님을 만나러 오는 시바의 조각상과 비교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부처님. 굽타 미술에서 발전한 것으로, 드바라바티의 많은 작품이 출판된 시대로 분류되는 굽타 이후, 특히 양손에 달마를 표현한 불상이 등장한다. 유럽식 발로 앉은 자세. 불교세기 초기 12~13세기경 그것은 여전히 인도 예술에 매우 가깝습니다. Devalai Deva인 Nasik의 Ajanta 동굴 19번, Ellora 동굴, Bodhisattva 동굴 23번의 조각품과 비교할 수 있습니다. 칼 사원의 인도 조각 스리랑카의 플론나루와 예술에는 드바라바티 시대, 초기 역사 및 드바라바티 시대가 포함되어 있으며 U Thong, Prachin Buri, Nakhon Pathom 및 남부 지역에 있습니다.
피리야 크라이릭쉬 (2010:49)은 보살동굴시대의 저부조 불상 조각은 나가르준콘다의 인도 불상을 모방한 부처님의 모습과 자세로 보아 불교 11세기 중반쯤으로 판단할 수 있다고 밝혔다. 왕좌의 경우 불교세기 11세기 초에 작성되었으며 마하상기카종 또는 마하상종의 하위종파에 건설된 아차나다 16호 동굴의 벽화와 유사하다. 다섯 번째 사진의 사람인 Gika(예:Orarasila 또는 Puravasila)는 엎드린 자세를 취하고 있습니다. 동굴 주인일 수도 있습니다.
또한 바간 예술에는 부처님에 대한 존경심을 표현하기 위해 브라만교의 신들을 묘사한 부처님의 삶의 이미지가 있습니다. 자바 예술인 보로부두르의 부처님 역사 그림을 비롯해 부처님에게 경의를 표하는 브라만교의 신상도 있습니다(Supatradit Diskul 1994: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