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의 역사

벨리사리우스(Belisarius), 250명의 정예병과 다뉴브강의 독일군

벨리사리우스(Belisarius), 250명의 정예병과 다뉴브강의 독일군

당시 제국의 두 주요 라이벌인 독일인과 동양의 유목민의 무술에 영감을 받은 벨리사리우스 장군은 해독제를 찾으려는 아이디어를 고안했는데, 그것은 다름 아닌 이중 역할 기병.

그가 소집하려는 새로운 기병대는 무서운 독일 중기병대의 공격을 견딜 수 있을 만큼 충분한 민첩성과 화력을 갖추고 있어야 했으며, 동양 기병 궁수의 무질서하면서도 성급한 공격을 쉽게 처리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한 결속력을 갖추고 있어야 했습니다. 이 기수들은 부셀라리(bucellari)라고 불렸습니다. 부셀라는 일종의 갈레트였습니다. 같은 빵을 나누는 사람들, 즉 동료 은행가들은 처음에 벨리사리우스의 작은 경호부대를 구성했고, 여기에 그의 친구들이 모두 배정되었습니다.

소위 캐벌리어라고 불리는 일반 기병과의 차이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해적군은 창과 활을 장비하고 중기병처럼 밀집된 질서로 싸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총소사 대형으로도 무거운 상대를 피하고 화살로 압도할 수 있다는 점이었습니다.

독일군에 대항

벨리사리우스는 자신의 부하들이 전투 준비가 되었다고 확신했을 때, 자신의 대대와 함께 북부 국경으로 가서 대대를 실제 전투 조건에서 테스트하고 독일 게피드와 싸울 수 있도록 허락해 달라고 황제에게 요청했습니다. 그래서 벨리사리우스는 250명의 협측부대를 이끌고 다뉴브 강에 도착하여 즉시 조치를 취했습니다. 프랑크족을 제외한 대부분의 독일인과 마찬가지로 게피드족도 훈족의 영향을 받아 뛰어난 기병이 되었습니다. 그들의 보병은 그다지 눈에 띄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독일 기병대는 정예 부대였으며 특히 아드리아노플 전투 이후에는 비잔틴 제국에 공포를 불러일으켰습니다. . 그는 성급함으로 유명했지만 규율과 일관성으로는 유명하지 않았습니다. 게피드족은 제국의 국경을 형성하는 다뉴브강 북쪽 기슭에 "가우(gau)"라고 알려진 집단을 이루어 살았습니다. 그곳에서 그들은 종종 강을 건너 깊은 곳까지 습격했습니다.

벨리사리우스는 근처에 도시도 마을도 없는 지역에 그의 부하들과 함께 진을 쳤습니다. 그는 부하들을 궁핍에 익숙해지기 위해 이렇게 했습니다. 그들의 전진기지인 다뉴브강 남쪽 기슭에 배가 정박해 있었고, 그곳에는 작은 식량 창고, 화살 창고, 그리고 무기 수리를 위한 대장장이 작업장이 있었습니다.

목사들은 필요에 따라 10일마다 배를 방문했습니다. 그렇지 않으면 그들은 적들이 빼앗은 보급품으로 살아가게 될 것입니다. 게피드족의 전투 전술을 연구한 벨리사리우스는 게피드족의 화살로 인한 손실로 적군이 혼란에 빠질 때까지 게피드족과 교전하지 말라고 부하들에게 명령했습니다. 해적군은 기총소사 대형으로 배치되어 게피드 기병들을 총으로 끊임없이 괴롭히고, 보병들을 버리고 후퇴시키려고 했습니다.

이런 식으로 게피드 기병은 아군 보병의 보호를 받지 못하고 비잔틴 해적들에 의해 쉽게 처리될 것입니다. 그의 세심한 지도 하에 그 사람들은 실제로 그의 명령을 문자 그대로 따랐습니다. 약 4개월 동안 벨리사리우스의 250명의 해적군은 20배나 더 많은 적들이 활동하는 지역에서 그들에게 패배하지 않고 작전을 수행하여 상당한 손실을 입히고 여러 명을 포로로 잡았습니다. 이 전투에서 벨리사리우스는 부상자 3명과 사망자 1명에 불과했지만 적의 행동으로 인해 목숨을 잃은 것이 아니라 우연히 익사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