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사

밀라노 칙령:그리스도인의 예배의 자유(313)


밀라노 칙령:그리스도인의 예배의 자유(313) 역사적 전통에 따르면 밀라노 칙령 313에 출판된 리키니우스 황제와 콘스탄티누스 1세의 편지입니다. 기독교인에게 예배의 자유를 부여하는 것입니다. 수세기에 걸친 박해를 종식시켰습니다. 밀라노 대주교 안젤로 스콜라 추기경은 2012년 12월 6일 다음과 같이 선언했습니다. “어떤 의미에서 밀라노 칙령을 통해 우리가 지금 '종교의 자유'와 '국가의 세속주의'라고 부르는 두 가지 차원이 처음으로 등장했습니다. 이 주장이 논쟁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면, 이 관용 칙령은 실제로 중요한 문서입니다. 인류 역사상.

밀라노 칙령 이전:기독교인들의 상대적 평화

1세기와 2세기에 기독교는 제국에서 널리 용인되었습니다. 황제가 이끄는 마녀사냥은 없었습니다. 나열된 유일한 대규모 박해는 로마의 화재(64년)와 제국의 권력이 연루된 베드로와 바울의 순교로 인한 네로 치하의 박해와 177년의 리옹 박해인데, 이는 역사가들이 여전히 모든 문제를 확실하게 풀기 위해 고군분투하고 있습니다. 플리니우스(Pliny)와 테르툴리아누스(Tertullian)의 편지에 기록되어 있는 지역 박해가 확실히 존재합니다.

그러나 두 경우 모두 주지사는 기독교인을 체계적으로 추적하지 않고 비난받는 사람들과 신앙을 부인하지 않는 사람들만을 심판합니다. 타키투스(Tacitus)와 플리니우스(Pliny)가 그리스도인들에 관해 한 말에서 알 수 있듯이 로마 자체에서도 그리스도인들이 눈살을 찌푸렸다는 것을 우리는 알고 있습니다. 따라서 로마 평화 기간 동안 황제는 클레멘시아를 보여줍니다. 철회하는 기독교인을 대상으로 합니다.

박해:3세기의 "위기"에 대한 대응

밀라노 칙령:그리스도인의 예배의 자유(313) 기독교인에 대한 박해가 큰 비중을 차지한 것은 3세기 후반이었습니다. 우리는 이 기사에서 매우 제한적으로 보이는 트라키아인 막시민의 박해에 대해서는 다루지 않을 것입니다. 249년 트라야누스 데키우스가 짧지만 격렬한 박해를 가할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 이 황제는 제국의 권위 회복, 과거의 찬미, 전통적 가치로의 복귀를 결합한 보수적인 정치 프로그램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이 마지막 점은 매우 중요합니다. 그에 따르면 로마인들은 복수를 하고 로마인들이 직면한 정치적, 사회적, 문화적, 경제적, 군사적 위기를 초래한 신들로부터 등을 돌렸기 때문입니다.

절차는 간단합니다. 소환된 모든 사람은 증서를 받기 위해 제물을 바치거나 향을 태워야 했습니다. 이를 거부한 사람들은 감옥에 가서 그들을 올바른 길로 되돌리기 위한 모든 절차를 거쳤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이를 받아들이지만 결과적으로 랍시(자신의 믿음을 부인한 그리스도인)가 됩니다. 랍시는 기독교 내에서 많은 문제를 야기합니다(일부 교회 당국도 그 자체가 랍시입니다). 기독교인들은 이 칙령의 명시적인 표적이 아니며 로마 당국은 기독교인들에게 신앙을 포기하라고 요구하지 않고 단지 요청된 행위를 수행할 것을 요구했습니다.

밀라노 칙령:그리스도인의 예배의 자유(313) 두 번째 큰 박해는 발레리안(257-258)의 박해로 명시적으로 기독교인을 표적으로 삼았습니다. 이 박해는 페르시아에 대한 패배와 여전히 만연하는 전염병에 대한 대응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이 조치는 더욱 제한적입니다. 기독교 예배 틀 내에서의 모임은 금지되며, 기독교 당국은 추방의 처벌을 받아 제국의 신들을 인정해야 합니다. 이러한 조치는 상대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이며, 따라서 더 심각한 뉴스가 채택됩니다. 결과는 아직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습니다. 발레리앙의 체포로 박해는 종식되었고 그의 아들 갈리앙은 상황을 진정시키기 위한 관용의 칙령을 발표했습니다. 일부 장소는 기독교인들에게 반환된 것 같습니다. 큰 박해가 닥칠 때까지는 교회의 작은 평화가 유지됩니다.

로마 관습에 맞지 않는 종교인 기독교

기독교 박해는 특정한 정치적 위기에 대한 대응일 뿐만 아니라 종교적인 문제에 대한 대응이기도 합니다. 기독교인들은 신들이 뜻하는 로마 질서의 생존을 보장하는 것 중 하나인 희생 제사에 참여할 수 없습니다. 그것은 질책받는 제국 예배에 참여하지 않는 것보다 더 큰 도시를 위한 비희생입니다. . 이러한 시민 예배 불참은 많은 기독교인을 로마 시민으로 변화시킨 카라칼라 칙령 이후 군사계에도 더욱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백부장 마르켈루스의 순교는 그리스도인들이 군대에서 겪을 수 있는 어려움을 잘 보여줍니다.

Slah Selmi는 다음과 같이 썼습니다. “성 마르셀의 행위는 295년 7월 21일에 일어났습니다. 그것은 황제의 현현 축일에 일어났습니다. 디오클레티아누스가 유피테르의 아들 요비우스와 헤라클레스의 아들 막시미아누스 헤르쿨리우스로 선포된 날을 기념합니다. Fortunatus가 지사였던 Tangier 시에서는 이 기념일을 축하하기 위해 군대에서 많은 기쁨이 있었습니다. 트라야군 백부장 중 한 명인 마르셀은 희생 제물이 바쳐지고 있는 군단 깃발의 전리품 앞으로 다가갔습니다.

그는 "나는 영원한 왕이신 예수 그리스도의 군사입니다"라고 말하면서 허리띠를 벗어 던졌습니다. 그는 또한 팔을 내리고 다시 말했습니다. "이제부터 나는 당신의 황제를 섬기기를 거부합니다. 나무와 돌로 만든 신들과 귀머거리와 벙어리 우상을 숭배하고 싶지 않습니다."... "기독교인이 하늘에서 봉사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세기의 민병대 »... «군인들이 모두 연회를 벌이고 희생을 치르고 있었습니다»; “군대의 상황이 이러하여 황제를 숭배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나는 전리품 앞에서 그렇게 했습니다. 우리는 황제의 축제를 축하하고 있었습니다. 그러므로 그는 탈영과 신성모독죄로 기소되었습니다.” 따라서 기독교는 로마제국의 틀 안에서 많은 문제를 제기하고 팍스 데오럼(pax deorum)에 도전했습니다. , 로마 종교의 기초이자 로마의 생존.

대박해

밀라노 칙령:그리스도인의 예배의 자유(313) 이러한 대박해는 303년 디오클레티아누스에 의해 시작되어 사상 최대의 박해인 312년까지 계속되었습니다. 희생자 수와 관련하여 또는 이러한 박해의 특히 오랜 기간과 관련하여. 우리는 이 기간 동안 각 분봉왕의 정책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지 않을 것입니다. 특히 그동안 제국의 여러 주역들 사이의 중요한 투쟁의 시작을 알리는 디오클레티아누스의 사임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군대를 정화하기 위한 조치(위의 성 마르셀의 이야기 참조)에 앞서 박해는 폭력적이었지만 지역에 따라 강도가 동일하지 않았습니다. 다양한 칙령. 그러나 이러한 학대가 발생한 맥락을 살펴보는 것은 흥미롭지 않습니다.

언제나 그랬듯, 분봉왕들의 의지는 기독교인들이 종교 문제에서 올바른 길을 찾도록 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디오클레티아누스가 로마제국에 가져온 변화는 기독교인들과의 동거를 이전보다 더욱 어렵게 만들었다. 사분왕정의 근간을 이루는 이데올로기는 유피테르의 후손이 될 두 아우구스투스의 제국적 권력을 신성화합니다. 그러므로 전통적인 신들에 대한 기독교인의 비헌신은 용납할 수 없고 국가를 위험에 빠뜨리는 것입니다. 디오클레티아누스가 신봉자였던 밀레토스의 아폴로 신탁은 달리 말하지 않았습니다. 이 신학은 가이사랴의 유세비우스가 발전시킨 기독교 제국의 정치철학을 예견하는 신학이다. 이는 또한 디오클레티아누스가 자신의 후계자들에게 단일 신앙으로 통치되는 제국을 보장하기 위한 방법이기도 합니다.

사르도닉 칙령

311년 4월 30일 갈레리우스는 니코메디아에서 사르디카 칙령이라고 불리는 관용의 칙령을 발표했습니다. 기독교인에 대한 정책을 채택하는 것이 308년 카르눈툼 회의에서 논의되었지만, 다른 세 분봉왕(콘스탄티누스, 리키니우스, 막시민 다이아)과 상의하지 않고 공포된 이 문서는 제국 전체에서 종교적 박해의 종식과 예배의 자유를 선언합니다. 갈레리우스는 락탄티우스에 의해 악마화되었는데, 락탄티우스는 그를 디오클레티아누스에게 동기를 부여한 잔인한 박해자로 보았으며, 이는 순교자들의 다른 열정으로는 입증되지 않는 것 같습니다. 이 칙령은 박해가 실패했다는 관찰에서 동기를 부여받았습니다. 박해는 기독교의 발전을 막는 데 기여하지 않았습니다.

아르놀도 마르코네(Arnoldo Marcone)에 따르면 이 칙령은 신민을 위한 것이 아니라 다른 분봉왕에 대한 경고입니다. 특히 사산조(페르시아)의 위협이 지속되고 있으므로 내전은 피해야 합니다. 이 칙령은 사분왕조의 이념적 업데이트를 표시하며, 갈레리우스가 디오클레티아누스 계획의 충실하고 권위 있는 해석자이기 때문에 가능한 업데이트입니다. 그러면 그리스도인들에게 제국의 구원을 위해 기도해 달라고 요청할 수 있습니다. 이 칙령에는 주지사가 이 칙령의 적용 방법을 규정하는 편지를 받게 된다고 명시되어 있습니다.

밀라노 칙령

기독교 역사학은 명백한 이념적 이유로 이 칙령을 과대평가했습니다. 밀비안 다리 전투에서 승리한 콘스탄티누스 황제는 기독교로 개종하여 기독교인들에게 자유를 가져다 주었고 그러한 칙령을 내릴 수 있는 유일한 사람이었습니다. 그러나 이 본문은 단지 사르도니크 칙령을 적용하는 칙령일 뿐, 심지어 칙령도 아닙니다. 이미 312~313년 겨울에 콘스탄티누스는 아프리카 총독과 카르타고 주교에게 사도니카 칙령에 따른 성직자 재산 배상금 마련을 위한 편지를 썼습니다. 일부 지방에서는 허용됩니다. 밀라노 칙령은 실제로 황제 콘스탄티누스 1세와 리키니우스가 보낸 회람 편지로, 313년 6월 13일 니코미디어에 게재된 밀라노의 두 사람이 비티니아 총독에게 보낸 인터뷰의 결과입니다.

이 편지는 공개적으로 게시되었으며, 이를 통해 Lactantius는 이 편지를 자신의 저서 박해자의 죽음에 관하여에 복사할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교회사의 또 다른 버전을 우리에게 주신 가이사랴의 유세비우스에게도 감사드립니다. . 사도니카 칙령에 주목할 만한 추가 사항은 압수된 서적과 재산을 기독교인들에게 반환하고 성직자에 대한 지방자치단체의 의무를 폐지한 것입니다. 결국 이 본문은 로마 제국의 기독교인에 대한 박해의 결정적인 종말을 상징하는 것입니다.

313년 4월 30일 아드리아노플 근처 에르게누스 캠퍼스에서 리키니우스가 막시미노 다이아를 상대로 승리를 거둔 후 출판된 이 문서는 리키니우스와 콘스탄틴의 동맹을 폐지한 결과입니다. 사분체제. 그러나 두 사람은 이 칙령에 대해 동일한 비전을 갖고 있지 않습니다. 리키니우스에게 이 칙령이 마지막 단계라면 콘스탄티누스에게는 이것이 시작입니다. 그가 첫 번째 공의회에 참여한 것은 종교적인 문제에 대한 그의 관심을 보여줍니다. 기독교가 제국의 공식 종교가 되기까지는 여전히 4세기 말까지 기다려야 할 것이다.

따라서 이 칙령의 중요성은 일부 역사서에서 말한 것보다 훨씬 덜 중요합니다. 비록 이 본문이 기독교인이 자유롭게 예배를 행사할 권리를 인정한다고 하더라도 말입니다. 그러나 이는 여전히 집단 기억 속에 자리잡고 있으며 이를 기념하기 위한 중요한 시위의 대상이 되고 있습니다. 이 기억은 프랑스의 여섯 번째 역사-지리 프로그램 프로그램에서 이 칙령이 언급된 것처럼 멈추지 않을 것입니다.

표시 참고문헌

- Marie Françoise Baslez, How Our World Became Christian, Seuil, 2011.

- LANÇON Bertrand 및 MOREAU Tiphaine, Constantin, Christian Auguste, Armand Colin, 파리, 2012.

- MARAVAL 피에르, 콘스탄티누스 대제:로마 황제, 기독교 황제(306-337), 탈랑디에, 파리, 2011.

- VEYNE Paul, 우리 세상이 기독교가 되었을 때(312-394), Le Livre de Poche, 파리,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