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89년, 언론인이자 이집트학자인 Charles Edwin Wilbour는 dahabiya를 타고 이집트에서 약 10년 동안 매년 겨울을 보냈습니다. (전형적인 나일강 여객선, 두 개의 돛을 가진) 그는 자신의 집과 도서관으로 개조한 후 아스완과 그 주변 지역을 방문했습니다.
바로 아스완에서 그는 근처 섬에서 발굴된 파피루스 몇 장을 시장에서 샀습니다. 윌버는 그의 죽음 이후 거의 50년 동안 파리 저장소에 보관되어 있던 이 파피루스의 중요성을 결코 알지 못했습니다. 그의 가족이 그의 나머지 문서 및 편지와 함께 브루클린 박물관에 기증한 후 그것이 유명한 엘레판틴 파피루스 라는 것이 밝혀졌습니다. .
그러나 같은 탐험에서 Wilbour는 강의 첫 번째 백내장 이전에 아스완에서 남서쪽으로 약 3km 떨어진 나일강에 위치한 또 다른 섬인 세헬(Sehel)에도 접근했습니다. 그 안에는 이집트의 물과 나일 폭포의 여신인 아누케트(Anuket)의 신전과 수많은 고고학 유적지가 있습니다. 하지만 그 곳은 주로 고대부터 다양한 시대에 사용되었던 화강암 채석장이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돌과 큰 바위에는 주로 노동자들이 남긴 수많은 비문이 있지만 그곳에서 누비아로의 여행을 시작하거나 마친 여행자들도 남겼습니다. 일부는 역사적 사건을 설명합니다. 그리고 바로 Wilbour는 가장 흥미로운 것 중 하나를 발견하게 되었습니다.
비문은 섬의 남쪽 끝 바위 노두에 새겨져 있으며, 직사각형 모양으로 절단하여 표면을 만든 천연 화강암의 큰 블록에 새겨져 있습니다. 비문이 작성될 당시 이미 존재했던 큰 균열이 암석을 두 부분으로 나눕니다. 일부 영역이 손상되어 일부 텍스트를 읽을 수 없습니다.
32개의 기둥으로 배열된 상형문자로 쓰여 있습니다. 윗부분에는 세 명의 신이 표현되어 있습니다. 크눔(양의 머리로 표현된 창조자), 사테트(나일강 홍수를 의인화한 여신), 아누케트(물과 폭포의 여신). 파라오 조세르가 그들 앞에 제물을 가져옵니다.
이 비문은 여러 학자에 의해 번역되었으며 첫 번째 학자는 1891년에 Heinrich Kark Brugsch였습니다. 그러나 오늘날 더 많은 합의가 있는 버전은 카르나크 사원 연구를 위한 프랑코-이집트 센터의 과학 책임자인 Paul Barguet의 버전입니다. 1953년에 검토하고 번역한 사람입니다. 오늘날에는 Hunger Stela라고 불립니다. .
본문은 기원전 2665-2645년경에 통치한 계단식 피라미드를 건설한 제3왕조의 파라오 통치 기간 동안 발생한 7년간의 가뭄과 기근에 대해 설명합니다. 그의 통치 18년에 가뭄이 시작되었는데, 그 이유는 나일강이 농지를 범람하지 않아 농작물이 없었기 때문입니다.
그런 다음 파라오는 자신의 고관 임호텝에게 매년 홍수를 일으키는 책임을 맡은 나일강의 신이 태어난 곳을 조사하도록 지시합니다. 이것은 헤르모폴리스에 있는 토트 신전의 기록 보관소를 살펴본 후 그에게 나일강의 범람이 엘레판티네 섬의 신성한 샘에 거주하는 신 Jnum의 소행임을 알려줍니다. 임호텝은 엘레판티네의 크눔 신전으로 가서 신에게 기도하던 중 꿈을 꾸게 됩니다. 그 안에서 크눔은 자신을 소개하고 그의 신성한 능력을 설명합니다. 그런 다음 그는 고관에게 나일강의 흐름을 다시 만들겠다고 약속합니다. 임호텝은 잠에서 깨어나 크눔이 조세르에게 말하라고 한 모든 것을 적습니다.
고관의 이야기가 시작되기 전에 파라오는 크눔의 사원을 복원하고 그에게 정기적인 제물을 다시 바치라고 명령합니다. 게다가 그는 법령에 따라 그녀에게 아스완과 타콤소 사이의 영토와 누비아에서 들어오는 모든 수입품의 일부를 부여합니다.
그러나 기근의 각성 그것은 조세르(Djoser)의 통치 시대부터 시작되지도, 심지어 그의 직계 후계자들의 통치 시대에도 해당되지 않습니다. 연구자들은 이 작품이 기원전 332년에서 31년 사이 알렉산더 대왕 이후 이집트를 지배했던 그리스 통치자 프톨레마이오스 왕국 시대에 제작된 것으로 믿고 있습니다. 즉, 이 책에서 설명하는 사건이 일어난 지 2,300년 이상이 지난 시점입니다.
구체적으로, 그것은 프톨레마이오스 5세(기원전 205-180년)의 통치에 속하며, 그 창조자는 엘레판틴 섬과 주변 지역에 대한 그들의 지배를 정당화하려고 노력한 크눔 신전의 사제들이 될 것입니다. 이를 위해 그들은 근동의 거의 모든 문화에서 공통적인 모티브를 사용했는데, 이는 성경에 나오는 길가메시나 요셉(야곱의 아들)의 이야기에도 등장합니다. 기근.
이러한 이유로 한동안 성직자들은 그 비문을 위조한 것으로 간주했습니다. 오늘날 일부 이집트 학자들은 그가 언급한 사실이 사실이라고 믿고 있으며, 다른 사람들은 그것이 허구라고 믿습니다. 어쨌든 이 비석은 파라오의 호루스 이름 Netjerikhet을 언급하고 있기 때문에 중요합니다. , 이를 통해 연구자들은 Zoser라는 이름만 새겨져 있는 기념물과 연관시킬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