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세 교회가 성경을 모국어로 배포하고 번역하는 것을 금지했다는 대중적인 견해는 잘못된 것입니다. 특히 도시 지역에서는 민속 성경이 각계각층에 퍼졌습니다. 구두 수선공이나 재단사라도 집에 모국어로 된 성경을 갖고 있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이는 종교개혁 이전의 성경읽기와 해석문화에 대한 유럽 차원의 대규모 연구의 첫 번째 결과에서 명백히 드러난다. 이 연구는 흐로닝언 대학에서 수행되었습니다. 연구를 주도한 사브리나 코르벨리니(Sabrina Corbellini) 박사에 따르면 자국어 성경은 개신교의 발명품이 아니라 중세 후기의 특징적인 현상이라고 한다.
코벨리니에 따르면, 하나님의 말씀은 성직자와 목사들만 읽어야 하며, 일반 교회 신자들은 알아들을 수 없는 라틴어 중얼거림을 참아야 한다는 널리 퍼진 견해는 개신교 개혁 운동의 성공적인 선전이었다고 합니다. “루터 자신이 그의 집에서 열린 수많은 '탁상 대화'에서 이 신화를 탄생시켰습니다.”라고 Corbellini는 말했습니다.
연구를 위해 '거룩한 글과 평신도 독자. 중세 후기 모국어 성경 번역의 사회사' 유럽 전역에서 모국어로 된 수십 권의 성서가 주의 깊게 분석되었습니다. 모든 출처는 1525년 이전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연구자들은 무엇을 누구에 의해 번역되었는지 알고 싶었을 뿐만 아니라 독자가 누구였으며 텍스트를 어떻게 처리했는지에 대한 질문도 중요했습니다.
지금까지 역사가들은 성경의 번역과 배포가 전반적으로 금지되었기 때문에 중세에는 자국어 성경을 소유하는 것이 매우 제한되었다고 믿어 왔습니다. 그들은 주로 교회 자료에 기초를 두었습니다. 흐로닝언 연구 그룹에 따르면 이는 역사적 현실에 대한 잘못된 그림을 제공합니다.
코르벨리니와 그녀의 동료들은 중세 후기에 라틴어 이외의 언어로 된 성경이 널리 퍼졌다는 증거를 발견했습니다. 모국어 성경은 왕과 학자뿐만 아니라 하급 부르주아지 내의 전문 집단도 소유했습니다. 제화공, 재단사, 상인들은 자국어 성경을 소유했습니다. 소유주와 독자들이 정기적으로 모여 성경을 읽고, 묵상하고, 암송했습니다. 또한 원고를 상호 판매하고 복사하는 상업 거래도 활발했습니다.
그러므로 중세 시대에는 성서의 번역과 배포를 전면적으로 금지하는 일에 의문의 여지가 없었습니다. 성경은 라틴어로만 읽어야 한다는 규정은 이미 유럽에서 종교개혁이 한창이던 때인 트렌트 공의회(1545-1563)에서 제정되었습니다. 그 전에는 이런 종류의 금지가 지역적 현상이었고, 특히 이단 운동이 활발했던 지역에서는 더욱 그러했습니다.
일반적인 이미지와는 달리, 마틴 루터가 1517년에 그의 유명한 95개조 반박문을 비텐베르크 대성당 문에 못 박기 훨씬 전에 유럽에서는 성경이 자국어로 생산되고 거래되었습니다.
그러나 모국어 성서의 분포는 지역마다 크게 달랐습니다. 이탈리아 북부, 네덜란드, 프랑스 지역, 독일 남서부 등 도시화된 지역에 성경이 가장 널리 퍼져 있었습니다.
Corbellini에 따르면, 마틴 루터의 개혁 운동의 성공은 그가 '성경적 해방자'로 여겨졌기 때문이 아닙니다. 오히려 그 반대입니다. 기독교를 개혁하려는 루터의 노력이 성공할 수 있었던 것은 바로 많은 '보통' 사람들이 이미 자신의 언어로 성경을 읽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 종교는 정치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