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세기의 예술가들과 자연사학자들은 새로 발견된 온갖 종류의 동물 종을 연구하는데 손을 댔지만, 아직까지 모든 것을 알지는 못했습니다. 때로는 다리가 있든 없든 상관이 없습니다. Marrigje Rikken은 박사 과정을 위해 이 시기의 동물 이미지를 연구했습니다. 이는 예술가들도 동물을 과학적인 방법으로 정리하려고 했고, 그 과정에서 박물학자보다 앞서 있었음을 보여준다.
16세기에 이루어진 수많은 탐험 항해는 세계를 훨씬 더 크게 만들었습니다. 새로운 바다와 대륙에는 유럽인들이 이전에 한 번도 본 적이 없는 온갖 종류의 동식물이 서식하고 있습니다. 탐험가들은 이국적인 동물을 포함하여 모든 것을 집으로 가져가거나 그 자리에서 이 알려지지 않은 동물의 그림을 그렸습니다.
네덜란드인들이 알고 있던 동물의 왕국은 이렇게 해서 상당히 확장되었습니다. 과학자들은 이러한 새로운 발견에 대해 토론했습니다. 그들은 어떤 종이며 어떤 과에 속했습니까? 얼룩말은 체격이 비슷하기 때문에 말과에 속합니까, 아니면 흑백이기 때문에 펭귄과에 속합니까? 이에 대한 진지하고 고심한 고민과 집중적인 서신이었습니다.
앤트워프에서 일어난 일
미술사학자 Marrigje Rikken(Leiden University)은 네덜란드 남부(현재 플랑드르)에서 1550년에서 1630년 사이에 동물 표현의 발전에 관한 박사 학위를 받게 됩니다. 그녀는 동물 표현에서 예술과 과학이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음을 발견했습니다. 앤트워프는 이곳에서 가장 중요한 도시였습니다. 1550년부터 예술가들이 이곳에서 이국적인 동물에 대한 많은 그림을 그렸고 1570년 이후 출판사는 동물 판화 시리즈를 출판했습니다.
예술가들은 전임자의 작품이나 과학 서적의 삽화에서 동물을 복사했습니다. Rikken:“탐험가, 장인, 작가들은 목판화를 사용하여 이러한 간단한 삽화를 만들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적었고 순전히 책의 내용을 보충하기 위한 것이었습니다. 그러나 작가들이 그린 그림과 이후의 판화는 텍스트와 별개로 오로지 보기 위해 만들어진 것입니다.”
값비싼 책으로 된 과학 출판물은 모든 사람이 접근할 수 있는 것은 아니었지만, 연구에 따르면 앤트워프의 지도 제작자이자 인문주의자인 아브라함 오르텔리우스(Abraham Ortelius)가 예술가들에게 접근권을 부여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따라서 그는 과학 지식을 전파하는 데 중요한 연결고리 역할을 해왔습니다.
Rikken:“Ortelius는 새로운 동물에 관해 과학자들과 연락을 주고받았으며 그의 지인 중에는 많은 예술가가 있었습니다. 예를 들어, 그의 편지에서 나는 이국적인 나무 거위의 번식에 관한 논쟁을 접했습니다. 과학자들은 이 거위 종이 나무에서 열매로 자라는지, 아니면 나무 그루터기에 사는 홍합에서 싹이 트는지 여부에 대해 논쟁을 벌였습니다. 그러면 오르텔리우스 주변의 예술가들이 어떻게 이 거위를 그렸는지 보실 수 있습니다.”
미친 짐승들
오르텔리우스 주변의 예술가들은 새로 발견된 동물들을 묘사했을 뿐만 아니라 그것들을 어떻게 배열해야 할지 고민했습니다. Rikken:“Marcus Gheeraerts는 기린, 아르마딜로, 양, 유니콘을 프린트했습니다. 그는 왜 이 동물들을 함께 모았을까요? 돈을 떨어뜨리는 데 시간이 좀 걸렸지만 모두 발가락이 짝수인 유제류이기 때문에 함께 있는 것 같아요. 네 마리의 동물은 모두 나란히 나란히 서 있으며 옆모습과 옆모습에서도 볼 수 있습니다. 다리는 비록 정확하지 않더라도 명확하게 보이고 발가락이 고르게 보입니다. 물론 유니콘은 존재하지 않으며 아르마딜로에는 발굽이 없습니다. 그러나 Gheeraerts는 발굽이 있는 아르마딜로가 표시된 과학 출판물에서 해당 이미지를 복사했습니다. 자연사가들은 아직 이러한 단일한 배열을 만들지 않았으므로 여기서는 예술이 과학보다 앞서 있었습니다."
우리의 현재 견해로는 이국적인 동물에 대한 지식의 격차가 더 재미있는 오해를 불러일으켰습니다. “초기 사향고양이 그림에는 목걸이가 달려있습니다. 동물을 풍경화한 요리스 회프나겔(Joris Hoefnagel)은 목걸이를 생략하고 귀를 뒤로 옮겼습니다. 그래서 귀는 더 이상 올바른 위치에 있지 않으며 매우 이상하게 보입니다. 다른 예술가들도 이 버전의 사향고양이를 무분별하게 복사했기 때문에 이제 그들이 어떤 그림을 예로 사용했는지 정확히 알 수 있습니다.”
허약한 다리
동물과 동물종에 관한 과학 연구는 고대 문헌을 포함하여 기존 문헌에 크게 의존했습니다. Rikken에 따르면 예술가들은 동물 자체를 훨씬 더 잘 보았습니다. 그녀는 연구 기간(1550-1630)에 자연사가들이 과도기에 접어들고 점차적으로 동물도 관찰하기 시작하는 것을 보았습니다.
“라이덴의 과학자 Carolus Clusius는 1605년에 극락조에 관해 쓴 자연사 작품을 출판했습니다. 클루시우스는 그 새에게 다리가 있다는 소식을 들었지만 아직 직접 본 적은 없었습니다. 이 특별한 새가 한 번도 착륙하지 않고 항상 공중을 맴돌았다는 당시 잘 알려진 이야기에 균열이 생기기 시작했습니다. 이 이론이 세상에 나온 것은 오랫동안 유럽인들이 이 외계 새를 박제하고 연약한 다리를 빼거나 부러뜨렸을 때만 볼 수 있었기 때문입니다.”
새로운 지식이 이용 가능해졌을 때, 예술가들은 그것을 자신들의 작품에서 보여주었습니다. 예를 들어, 장로 얀 브뤼겔(Jan Brueghel the Elder)은 관중들에게 그가 이 짐승에 대한 최신 과학 지식을 알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1615년경부터 과장되게 긴 다리를 가진 극락조를 그렸습니다. 브뤼겔은 새로운 장르인 이국적인 동물 그림의 선구자였습니다. 처음에는 앤트워프의 잘 알려진 동물 지문과 그림에 의지해야 했지만 1604년 이후에는 상황이 바뀌었습니다. 그 후 Brueghel은 프라하에 있는 합스부르크 황제 루돌프 2세(1552-1612)의 궁정을 방문했습니다.
리켄:“1585년 앤트워프가 함락되자 많은 예술가들이 도시를 떠났습니다. 루돌프 2세는 예술과 과학을 매우 사랑하는 사람이었으며 네덜란드 남부의 많은 유명 예술가들을 프라하로 끌어들이는 데 성공했습니다. 루돌프는 또한 살아있는 이국적인 동물을 수집했고 예술가들은 그의 개인 동물원에서 이 동물들을 연구할 수 있었습니다. 그런 다음 그들은 동물이 인쇄물보다 훨씬 더 생생하게 묘사될 수 있기 때문에 모든 종류의 포즈와 유성 페인트로 이국적인 것을 불멸화했습니다. 1600년경 프라하는 새로운 가볼만한 곳이 되었습니다. 동물 표현의 생산과 새로운 매체의 회화를 위해.”
화가들은 또한 성서에 나오는 낙원을 묘사하는 등 동물을 배열하는 일에도 참여하게 되었습니다. 화가 Roelant Savery는 외래종과 토착 동물만을 구별했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화가들은 점점 더 가족별로 동물을 정리했습니다. 그런 다음 예를 들어 모든 고양이를 캔버스 위에 함께 배치했습니다. 그들은 또한 서로의 작품과 과학 삽화를 정확하게 복사했던 선배들의 전통을 깨뜨렸습니다.
화가들에게는 삶에서 최대한 많은 것을 그리는 것이 바로 예술이었습니다. 그들은 후원자의 컬렉션에서 실제 생활에서 이 놀라운 생물을 연구했다는 것을 모든 사람이 볼 수 있도록 다양한 자세로 동물을 묘사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렇게 함으로써 그들은 또한 동물들이 항상 한 가지 자세로만 보여지는 자연사 출판물의 삽화보다 더 나아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