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미의 역사

풍화되어서는 안되는 미국 역사의 부정적인 측면! Dred Scott과 그의 판단에 대하여

풍화되어서는 안되는 미국 역사의 부정적인 측면! Dred Scott과 그의 판단에 대하여

아무도 관심을 가지지 않았지만 제가 대학에서 진행한 세미나는 "미국법"이었습니다. 이 세미나에서도 "Dred Scott v. Sandford 사건"을 다루었습니다.

세계사 교과서에서는 '남북전쟁'을 노예해방전쟁으로 가르치는데 현실적으로 그게 쉽지 않은 것 같아요.

저번에 토니 모리슨의 책 '빌러비드'를 읽고 이 사건을 간만에 보았는데, 이번에는 남북전쟁을 촉발한 '드레드 스콧 사건'에 대해 살펴보고자 합니다.

미국 연방 주

미국의 공식 명칭은 "United States of America"이며, 단일 국가라기보다는 국가들의 집합적인 미국이라고 생각하는 것이 더 나을 수도 있습니다.

미국의 주는 하나의 국가로 생각될 수 있으며, 주마다 법이 다릅니다.

노예해방과 관련하여 이 사건이 발생한 19세기 당시 흑인을 해방시킬 수 있는 '자유주'라 불리는 주도 있었고, 그렇지 않은 주도 있었습니다.

미국 남부 지역은 주로 값싼 노동력, 흑인 노예로 구성된 농장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영국으로의 면화 수출을 촉진하는 자유 무역은 주로 면화를 생산하는 남부에 유리한 정책이었습니다.

반면 북부는 산업화되어 노예 노동에 의존할 필요가 없었고, 보호주의 무역은 영국 공산품과의 경쟁을 피한다는 점에서 유리한 정책이었다.

이처럼 정책 차이로 인해 미국 북부와 남부 지역에서 갈등이 심화되고 있었는데, 이때 드레드 스콧 사건이 발생했다.

미주리 타협

미주리 타협의 존재는 드레드 스콧 사건의 배경으로서 매우 중요하다.

이 합의는 1820년 미주리주가 건국되면서 미주리주를 자유주로 만들느냐, 노예주로 만들느냐의 남북 갈등에서 비롯됐고, 결국 미주리주 자체가 노예주가 됐다. 북위 36도 30분 이북의 모든 주는 자유주가 된다는 합의이다.

이런 배경에서 '미주리주의 타협'이라고도 불린다.

드레드 스콧 사건

1795년에 태어난 드레드 스콧은 노예로 태어나 1833년 미군 존 에머슨 소령이 사들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에머슨은 일리노이주에서 3년 동안 일했고, 일리노이주는 자유주였습니다.

Emerson은 Dred Scott이 결혼한 일리노이주에서 일을 마친 후 미네소타로 이사했습니다.

그런 다음 Emerson은 미주리로 이사하여 Dred Scott과 그의 아내를 아내에게 빌려주었습니다.

좀 헷갈리긴 하지만 요점은 일리노이주와 미네소타주에서는 노예제도 자체가 불법이고, 미주리주에서는 문제가 없다는 미국법의 왜곡이 문제가 됐다는 점이다.

그 후 에머슨은 루이지애나와 아이오와 준주(Iowa Territory)의 자유 지역으로 이사했고, 그곳에서 Dred Scott은 루이지애나에 있는 그의 아내에게 임대되었습니다.

에머슨은 1840년에 사망하고 스콧은 아내의 노예였으나 ​​1846년 스콧은 자유국가를 거쳐갔다는 이유로 노예가 아닌 자유국가라는 비난을 받았다. 했다.

취재판결

Dred Scott이 첫 번째 사례에서 승리했습니다. Emerson은 이에 대해 항소했지만 Dred Scott이 두 번째 재판에서 승리했습니다.

그러나 미주리주 대법원은 스캇이 노예였다며 판결을 뒤집었다.

대법원의 판결에 대해 다양한 비판이 이어졌다.

미주리주 판례법에는 노예가 자유주를 건너면 자유로워진다고 명시되어 있지만, 판결을 내린 미주리주 대법원 해밀턴은 다수의 노예를 소유하고 자급자족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유리한 판결을 내린 것에 대해 전국적으로 비난을 받게 될 것입니다.

상황은 당시 미국의 차기 대통령 제임스 뷰캐넌에게 우려거리가 되었고, 자신의 지지율 하락을 두려워한 뷰캐넌 대통령은 자신이 그 불꽃에서 벗어나기 위해 몇 가지 묘책을 세웠다고 말했다.

캔자스-네브라스카 방식

당시 미국은 계속 확장했습니다. 캔자스와 네브래스카가 준주가 되었을 때, 두 지역이 장래에 준주가 되었을 때, 자유 주로 만들 것인지 노예 주로 만들 것인지는 주민들이 결정하도록 하는 법이 제정되었습니다. 미주리 타협은 두 지역 모두 북위 36도 30분 북쪽에 있었기 때문에 사실상 폐기되었습니다.

이 법은 1854년 3월 의회에서 통과되어 미국의 공식 법이 되었습니다.

이 법에 반대하는 세력은 결국 큰 정당이 되었고, 결국 공화당이 되었고 미국의 양대 정당 중 하나가 되었습니다.

연방 대법원 판결

연방 법원으로 무대를 옮긴 Dred Scott에 대한 판결은 1857년 3월 Roger B. Taney 판사에 의해 이루어졌습니다.

판결의 주장은 다음과 같다.

(1) 연방 헌법은 원래 흑인을 시민으로 인정하지 않기 때문에 흑인은 소송을 제기할 권리가 없습니다.
(2) 흑인은 자유주에 거주하더라도 자유롭지 않습니다. 북부 지역의 노예제도를 금지한 미주리 타협안은 위헌이다.

놀랍게도 이것이 미국의 결론이었습니다.

연방 법원은 흑인에게는 시민권이 없다고 직접 판결했습니다.

간단히 말해서, 흑인은 결코 자유로울 수 없으며, 미국 대법원은 흑인이 평생 동안 노예라는 판결을 내렸습니다.

어두운 책이 미국으로 내려왔습니다.

국가는 노예 제도를 유지하는 데 앞장섰습니다.

19세기 미국의 민주주의 수준은 고대 로마에 훨씬 못 미쳤다고 할 수 있다.

자유의 나라라는 말을 듣고 깜짝 놀랐습니다.

이런 부정적인 측면 때문인지 '드레드 스콧 사건'을 다룬 일본 교과서는 없다. 미국은 항상 빛나야 합니다.

아름다운 나라입니다.

사건과 링컨 및 남북전쟁(Civil War)이 미친 영향

사람들에게는 양심이 있습니다.

미국에도 이러한 불합리한 상승이 없지는 않습니다.

드렛 스콧의 결정이 있은 지 3년 후, 노예 해방을 옹호하는 공화당 의원 에이브러햄 링컨이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승리했습니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남부 주들은 미국을 떠나 미국 남부연합의 창설을 선언했는데, 두 나라 모두 미국과의 남북전쟁, 남북전쟁, 그리고 일본의 남북전쟁이라는 전쟁에 돌입했다.

Dred Scott의 결정에 대해 생각하기

미국 역사상 로자 파크스 사건과 함께 매우 중요한 판결이다. 그러나 일본에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나를 포함한 많은 사람들이 미국의 존재를 갈망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는 미국의 긍정적인 부분만을 간과하고 있습니다.

이제는 미국의 부정적인 부분을 면밀히 살펴봐야 할 때라고 생각합니다.

미국 남북전쟁을 다룬 영화와 소설이 많이 있습니다.

토니 모리슨의 'Beloved', '좋은 놈, 나쁜 놈, 그리고 일몰',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

아직 미국의 모든 흑인 문제가 해결된 것은 아닙니다.

앨라배마 이야기는 남부에서 흑인이 흑인에게 형을 선고받고, 미국에서 빈부격차가 계속 벌어지고 있는 현 상황을 지금도 묘사하고 있다.

블랙 이슈는 미국 역사의 과거 이야기와 같지만 모든 역사는 과거와 함께 계속된다.

Dred Scott과 같은 연방 법원 판결은 정의가 항상 정의가 아니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정부가 결정한 것이 모두 옳은 것은 아니다.

모든 교육적 관점에서 볼 때, '드레드 스콧 사건'의 존재는 교과서에 포함되어야 할 내용이라고 생각합니다.

누구도 사람을 노예로 이용해서는 안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