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의 역사

로마제국의 4분할 통치(분봉정치)의 시작부터 끝까지 철저한 해설!

로마제국의 4분할 통치(분봉정치)의 시작부터 끝까지 철저한 해설!

3세기의 위기라 불리는 로마종파의 50세기에는 무려 25명의 황제가 죽는 등 군제제 시대가 이어졌다.

이를 종식시킨 마지막 군사 황제 디오클레티아누스는 한 명의 황제의 힘으로는 광활한 로마를 통치하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판단하고, 처음에는 막시미아누스와 함께 쌍두 체제(디아키아)로 로마 제국을 분열시켰고, 다스렸지만 그것조차 어려워졌다.

따라서 디오클레티아누스는 정통 황제(아우구스투스) 외에 부황제(카이사르)를 배치하고 4명의 황제에 의한 4분할 통치(4분할 통치)를 시작했다.

네 명의 황제에 의한 통치

로마제국의 4분할 통치(분봉정치)의 시작부터 끝까지 철저한 해설!

디오클레티아누스 시대의 사분체제는 다음과 같다.

제국 동방 정교회 (시리아):디오클레티아누스

제국 동부 부제국(도나우 강 방향):갈레리아우스 황제

엠파이어 웨스트 정교회(북아프리카, 로마):막시미안

Empire West Deputy Empire (라인강 방향):콘스탄티노플

당시 로마는 동쪽으로는 사산 왕조의 페르시아, 북쪽에서는 게르만족이 라인강과 도나우강을 건너 영토를 침범하고 조직적인 도적떼가 성행하고 있는 상태였다.

특히 구 군단의 지휘관급이 도적을 조직하는 경우도 있는데, 치안 회복과 외적에 대한 제압이 가장 중요한 과제였다고 할 수 있다.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의 지배에서는 프린키페테의 지방 자치 사상이 폐기되고, 황제의 권력, 즉 중앙집권 체제가 이양되었다. 그리고 이를 뒷받침한 것은 대규모 관료였다고 할 수 있다.

지방과 총독에 대한 개념은 폐기되었고, 상원은 사실상 운영되지 않았으며, 관료제를 유지하는 데 드는 막대한 비용으로 인해 세율을 크게 인상해야 했습니다.

반란이 일어나지 않은 이유는 치안이 크게 회복되었기 때문일 것이다. 나라 곳곳에 둥지를 틀고 있던 도적, 산적, 해적들이 진압되었고, 실제로 사분정국 이후 로마 영토에 외국인이 침입한 적은 단 한 번도 없습니다.

사분정치의 붕괴와 내전

로마제국의 4분할 통치(분봉정치)의 시작부터 끝까지 철저한 해설!

4분할 통치라고 해도 현실은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의 폭정이다.

이러한 개혁이 단번에 이루어진 것은 아마도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의 집행력과 카리스마 때문이었을 것이다.

아마도 그는 그것이 이미 이루어졌다고 생각했을지 모르지만, 디오클레티아누스는 막시미아누스와 함께 왕좌에서 물러나 로마 황제 역사상 처음으로 은둔했다.

디오클레티아누스 퇴임 이후의 사분체제는 다음과 같다.

제국 동방 마사루:갈레리아누스

제국 동부 부제국:막시미누스 다자

제국 서부 제국:콘스탄티우스 클로루스

엠파이어 웨스트 바이스 엠파이어:시저

그러나 이 정권은 수년간 지속되지 못했다.

사분정치와 지배체제에 불만을 품은 로마 시민들과 원로원은 황제의 혈통을 이어받았으나 후계자로 지명되지 못한 막센티우스와 관련하여 그의 아버지 막시미아누스를 대신하여 황제라는 별명을 붙였다. 콘스탄티누스 황제가 병으로 사망한 직후, 그의 아들인 콘스탄티누스 황제 역시 서방의 로마 황제라는 별명을 얻었다.

서열 1위인 갈레리아누스 황제는 콘스탄티누스를 부황제로 승인했고, 서방 부황제인 카이사르를 황제로 승격시키면서 전임자 막시미아누스를 복속시키는 방향으로 나아갔다.

그러나 세베루스는 막시미아누스 황제와의 전투에서 패하고 전쟁에서 사망했다.

이것을 기회로 삼은 콘스탄티누스는 로마로 향하여 먼저 막시미아누스 황제를 격파하고, 그 후 밀티아 다리 전투에서 아들 막센티우스를 격파했는데, 여기서 막센티우스는 전사했습니다.

남은 황제 리키니우스와 콘스탄티누스 황제가 밀라노에서 만났고, 그곳에서 유명한 밀라노 칙령이 발표되었습니다.

그러나 서기 324년 콘스탄티누스는 살아남은 리키니우스 황제도 죽임으로써 그를 유일한 로마 황제로 만들었습니다.

사분체제에 대한 생각

세계사에는 광대한 제국을 분할하여 통치한 다른 사례가 있지만 그것은 효과가 있었던 적이 없습니다.

칭기즈칸이 죽은 뒤 몽골 제국도 그의 후손들 사이에서 전쟁을 벌였고, 광대한 제국은 넷으로 나뉘어 결국 쇠퇴했다.

카리스마가 솟은 나라는 카리스마가 살아 있을 때는 좋지만, 카리스마가 떠나면 약해지고 무너진다.

디오클레티아누스가 죽은 뒤 로마는 치열한 내전을 겪었고, 콘스탄티누스 황제가 죽은 뒤 로마는 추악한 전쟁터가 됐다.

왕정제였던 로마는 공화제 정부로 옮겨갔고, 원로원을 존중하는 전직 국가원수에서 폭정으로, 결국 멸망으로 치달았다.

번영을 위한 필수품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비잔틴 제국은 1453년 오스만 제국이 멸망할 때까지 생명줄을 지켰다. 결국 러시아의 로마노프 왕조에게 넘겨져 1919년 러시아 혁명까지 이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