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의 역사

세계사적 살라미스 해전:'이단적' 견해...제1부

세계사적 살라미스 해전: 이단적  견해...제1부

우리 그리스인들은 살라미스 해전이 그리스 역사의 이정표라고 생각합니다. 당연히 그렇습니다. 페르시아에 저항한 그리스인의 승리는 크세르크세스의 진격을 막았고 그리스 반도 전체를 점령하려는 계획을 포기하도록 강요했습니다. 그러나 그리스의 역사적 발전에 있어서의 중요성과는 별도로, 이 전투는 세계사, 특히 해군 역사에서 가장 중요한 전투 중 하나이기도 합니다. 함선과의 해전, 즉 해전이 역사 발전에 이토록 영향을 미친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그때까지 그리고 그 후에도 수년 동안 우리는 육지에서만 크고 결정적인 갈등을 겪었습니다. 그러나 살라미스에서는 "배"라는 요소가 결정적입니다.

엘리아스 달루미

물론 고전 시대의 그리스-페르시아 전쟁에서 큰 역할을 한 다른 해전도 있었습니다. 매우 암시적인 것은 미칼리에서 발생한 육지와 바다의 이중 전투의 사례입니다. 이 전투로 인해 소아시아 해안에 있는 그리스 도시의 많은 것이 바뀌었고 그리스인과 페르시아인의 관계가 다른 맥락에 들어갔습니다. 그러나 살라미스 해전만큼 결정적인 중요성을 지닌 전투나 해전은 거의 없습니다. 물론 우리 그리스인들에게는 해전으로 운명이 결정되는 현상이 반복되어 왔다. 그리스는 나바리노 해전을 통해 국가 지위를 획득했습니다. 아마도 우리 중 많은 사람들이 "탈출"하는 것...

그러므로 위의 내용을 토대로 볼 때 살라미스 해전을 다룬 텍스트는 이상하다고 볼 수 없다. 정말 이상한 점은 기원전 480년 9월 살라미스 해협에서 정확히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는 점이다. 그렇습니다. 우리 모두는 그리스인들이 승리했고 우리가 페르시아의 진격을 막았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것이 어떻게 정확하게 달성되었는지 아는 사람은 얼마나 됩니까? 아마도 거의 없을 것입니다. 적어도 솔직하게 말하자면... 해전 수행 방식뿐만 아니라 현실과 거의 관련이 없는 의견이 "유통"되는 방식입니다. 물론 사건을 절대적으로 정확하게 설명하는 "목소리"도 있었습니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그들은 "일반적인 의견"이 아닙니다. 비록 그것이 완전히 근거가 있다고 하더라도.
우리는 이 본문이 살라미스 전투에 관한 몇 가지 사항을 명확히 하고 마침내 그 이야기를 올바르게 전달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출처

살라미스 해전을 다루려는 이들이 직면해야 할 가장 심각한 문제는 분명 출처의 문제일 것이다. 즉, 관련 정보를 어디서 찾을 수 있을까요? 물론 우리는 고대 자료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그들은 살라미스 전투에 대해 연대순으로 썼습니다:Aeschylus, Herodotus, Ctesias Cnidius, Diodorus Siculus, Cornelius Nepos 및 Plutarch. 불행하게도 투키디데스는 그의 "Xygraphane"에서 살라미스 전투에 대해 몇 줄만 할애합니다. 따라서 우리는 위에서 언급한 모든 사실을 추적해야 합니다. 그리고 여기서 어려움이 시작됩니다. 각각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아이스킬로스는 확실히 역사를 쓰지 않았습니다. 그는 최초의 위대한 시인인 비극 시인이었고, 그의 관심을 끈 것은 그의 작품을 보는 관객의 감정이었다. 그는 자신이 기술한 내용의 역사적 정확성을 주요 목표로 삼는 역사가가 아니었습니다. 물론 아이스킬로스는 살라미스 전투에 참전한 경험이 있어 그 사건을 자신의 눈으로 직접 볼 수 있는 독특한 자격을 갖고 있다. 그래서 그가 작품 『페르사이』에서 언급하는 것은 단지 그가 들은 것, 그에게 들은 것이 아니다. 그것은 그의 경험입니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 것은; Aeschylus는 기원전 472년, 즉 해전이 끝난 지 불과 8년 만에 아테네에서 처음으로 그의 작품을 발표했습니다. 주목할 가치가 있는 4부작의 일부 – 페리클레스가 후원자였습니다!

"페르시아"는 그의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작품이자 신화적 배경보다는 역사적 배경을 지닌 유일한 작품이다. 바다 전투에 대한 설명은 매우 명확합니다. 우리는 연극을 다루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물론 이것이 정확성이 부족하다는 의미는 아닙니다. 그는 할 수 없었다! 그는 해전에 참가한 적이 있고 그 사건을 자신처럼 잘 알고 있는 사람들에게 연설하고 있었습니다. 그러므로 그가 사건의 질감을 바꾸는 설명을 사용하는 것은 불가능했습니다. 결국 그는 신화를 창조하는 것이 아니라 아테네인과 물론 그 자신의 행동을 강조하려고 노력했습니다. 결론; Aeschylus는 살라미스 전투에 대한 그의 설명에서 확실히 신뢰할 수 있습니다. 그의 "단점"은 그의 시적인 표현이다. 그러나 결코 그것이 사실이 아니라고 간주될 수는 없습니다.

큰 부담은 확실히 역사의 아버지로 간주될 수 있는 헤로도토스에게 있지만 확실히 투키디데스 수준에는 미치지 못합니다. 헬레니즘 시대에 "역사"라고 불렸던 그의 작품은 각각 뮤즈의 이름이 붙은 9권의 책으로 나누어져 있었으며, 헤로도토스가 아테네에 살았던 시기, 즉 기원전 445년경에 쓰여지고 알려지게 되었습니다. 그는 자신의 작품 중 일부를 공개적으로 읽었고 아테네인들은 그에게 10달란트를 선물로 주었다고 합니다. 금액이 극도로 높음에도 불구하고 헤로도토스가 아테네인들에게 글을 잘 썼을 수도 있지만 그가 심각한 부정확성과 훨씬 더 많은 거짓말을 하는 것은 확실히 불가능했습니다. 그 당시에는 아직 살라미노마키아인들이 살고 있었고 이와 같은 일이 민주주의 아테네에서는 "불행하게도" 통과되지 않았을 것이라는 사실을 잊지 마십시오. 분명히 그가 군사전술에 대한 충분한 지식을 갖고 있지 않은 것 같다는 점, 연대기적 자료가 부정확한 경우가 많거나 설명이 모호한 점 등은 분명 부정적인 요소이다. 그러나 "역사"의 여덟 번째 책인 "우라니아"는 살라미스 전투에 대해 우리가 가지고 있는 가장 중요한 자료입니다.

크니디우스(기원전 5세기 말~4세기 초) 크테시아스는 일생의 대부분을 페르시아 궁정에서 살았습니다. 그의 작품 "페르시아"에서 그는 페르시아 전쟁과 물론 살라미스 전투를 언급합니다. 그들은 주로 페르시아 자료에 기초를 두고 있으며 헤로도토스의 "역사"에 대한 "경외심"이 될 수 있습니다. 이것이 일부 고대 작가들이 사용한 방식과 정확히 같습니다. 나쁜 점은 Ktesias의 작업에 대한 다른 작가의 "발췌"와 일부 "요약"이 거의 남아 있지 않다는 것입니다. 최악의 상황은 명확하게 보존된 것들이 고고학적 발견과 모순된다는 것입니다. 궁극적으로 Ktesias는 정확한 출처로 간주될 수 없습니다.

시칠리아인 디오도루스(기원전 90년~기원전 20년)는 매우 흥미로운 사례입니다. 불행하게도 우리는 그의 작품에 대한 "전형"과 발췌본만을 갖고 있습니다. 그것은 확실히 방대했고 적어도 우리가 관심을 갖고 있는 경우에는 헤로도토스와 투키디데스와 같은 고대인의 작품을 기반으로 했습니다. 불행하게도 이 마지막 것은 이와 같은 것에 도달하지 못하며 디오도루스에 대한 언급은 제한적일 수밖에 없습니다.
만물에 대한 헬레니즘 학자들에 따르면 코르넬리우스 네포스나 코르넬리우스 네포스도 디오도루스와 동시대 사람이었습니다. 이 로마 역사가, 그리고 무엇보다도 전기 작가는 역사적 정확성보다는 자신의 작품을 즐겁고 편안하게 읽는 데 목표를 두었습니다. 그는 테미스토클레스와 아리스티데스의 삶에서 살라미스 전투를 언급합니다. 그러나 확실히 신뢰할 수 있는 출처에는 포함될 수 없습니다.

그리고 우리는 플루타르코스(AD 45-120)에 이르렀습니다. 살라미스 전투에 대한 그의 주요 언급은 테미스토클레스의 삶에 있습니다. Plutarch의 단점은 사건이 발생한 지 거의 550~600년을 살았기 때문에 우리가 전혀 알지 못하는 일부 고대 자료를 사용한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분명히 그의 이야기의 기반 중 하나는 헤로도토스입니다. 일반적으로 살라미스 전투의 경우 플루타르코스는 상대적으로 신뢰할 수 있는 출처로 분류됩니다.

시간

살라미스 전투 이야기의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전투가 일어난 날짜입니다. 그 원인은 다름 아닌 페르시아인들이 밤에 살라미스 해협에 들어왔기 때문이다. Herodotus(Urania VIII 65)는 Xerxes와 함께 있었던 Theokides의 Athenian Dikaios와 Lacedaemonian Dimaratos가 해전 직전에 Thriasium, 즉 Eleusis 평야에서 "먼지 구름 =a 먼지 구름이 움직인다" 그리고 "그 목소리는 비밀스러운 야콘인 것 같다 =그들은 어떤 목소리를 들었는데 그것이 그들에게 그것이 이아쿠스의 신비에 대한 찬송인 것처럼 느껴졌다". 그러한 행렬은 고대 아테네에서 Eleusinian 신비의 입문자에 의해 열렸는데, 그들은 Iachus의 xoano를 들고 Eleusis로 가서 다양한 찬송가를 외쳤습니다. 이것은 보이도로미온의 19일에 일어났습니다. 그리하여 그 달 20일에 살라미스 전투가 벌어졌다.

Boedromion의 20일이 우리의 9월 22일에 해당한다는 것이 계산되고 완전히 검증되었습니다. Herodotus는 Dicaeus와 Demaratus가 Iachos에 대한 소식을 보고 들었던 곳이 어디인지 우리에게 확실히 말하지 않습니다. 그런데 왜 그가 사건의 서사에 미치는 유일한 영향은 해전 날짜 결정에만 관련된 완전히 상상적인 사건을 언급해야 합니까? 그러므로 우리는 헤로도토스의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을 이유가 없습니다. 그는 아마도 "신의 뜻"이 그리스인들에게 있었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이 말을 쓴 것 같습니다.

그 당시에 일어난 일식으로부터 우리가 얻은 또 다른 안전한 날짜는 Herodotus(Calliope IX 10)에 의해 언급된 "태양이 하늘에서 어두워졌다 =태양이 하늘에서 어두워졌다"입니다. 이날 스파르타 왕 클레옴브로토스는 코린토스 지협에서 희생제물을 바치고 있었는데, 그는 당황하여 신들이 그를 돕지 않는다고 판단하고 페르시아와 싸우기 위해 아티카로 가는 대신 그의 군대를 데리고 스파르타로 진군했습니다. 같은 현상은 정확히 같은 날 Attica를 떠나기 시작한 Xerxes에게도 상응하는 영향을 미쳤습니다. 문제의 일식이 현재 달력에 의해 결정되는 날짜인 기원전 480년 10월 2일에 일어났다는 것은 절대적으로 확인되고 정확하게 계산됩니다. 구체적인 천문학적 계산은 논쟁의 여지가 없습니다.

따라서 모든 계산에 따르면 살라미스 전투는 기원전 480년 9월 22일부터 10월 2일 사이에 일어났다. 몇몇 역사가들은 해전 날짜를 9월 27일 또는 28일로 간주합니다. 따라서 그들은 헤로도토스를 "삭제"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이 페르시아 군대 전체가 오늘날의 기준으로도 엄청난 규모라고 생각합니다. - 단 3~4일 만에 장거리 왕복 여행을 준비할 수 있습니다. 이 주장은 경영에 대한 지식이 거의 없는 사람이라도 즉각 일축한다. 그들은 다음 사항을 결정하기 위해 Xerxes 및 그의 직원들과 함께 얼마나 많은 회의를 열어야 하는지 계산하지 않습니다.

1. 살라미스 전투에서의 패배가 캠페인 결과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페르시아 왕의 지상군은 피해를 입지 않았다는 사실을 잊지 마십시오.

2. 이 정도의 병사들을 집결하고 막사 등을 꾸리는 데에는 확실히 3~4일이 부족합니다. 오히려 9월 22일부터 열흘이면 이 모든 작업을 수행하기에 충분한 시간입니다.

공간

간과되는 또 다른 중요한 요소는 살라미스 해전이 발생한 지역입니다. 많은 사람들(분명히 대부분)은 살라미스 해협의 지형이 오늘날과 동일하다는 것을 당연하게 여깁니다. 또는 - 더 일반적으로 - 그들은 그를 전혀 고려하지 않습니다. 여기서 우리는 해안의 자연적 형성을 의미하며 지난 50년 동안 주로 케라치니(Keratsini)와 페라마(Perama) 측면에서 수행된 항만 시설 확장 프로젝트로 형성된 해안이 아니라는 점에 유의해야 합니다. 하지만 조금만 검색해보면 이 견해가 얼마나 잘못된 것인지 알 수 있습니다.

포키온 네그리스(1846년 3월 31일~1928년 1월 15일)는 아테네 키프셀리에 도로가 건설되기 오래 전에 중요한 광물학자, 지질학자, 정치가였으며 동시에 아테네 아카데미의 초대 회장이기도 했습니다. 1903~1912년에 그는 메디아 전쟁 당시 해수면이 오늘날보다 3.40미터 낮았다는 사실을 입증했습니다. 어떤 사람들은 네그리의 주장에 이의를 제기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오늘 Zea 항구(Piraeus의 Pasalimani)를 방문하려는 사람은 누구나 그의 확인을 볼 수 있습니다. 거기서 당신은 바위에 새겨져 오늘날 바다에 있는 네오소이키의 남아 있는 유적을 볼 수 있습니다. 이는 그들이 건설되었을 당시 해수면이 오늘날보다 낮았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이 모든 것이 무엇을 의미합니까? 하지만 살라미스 해협은 오늘날보다 좁았다는 사실. 아니면 지난 50년 동안 진행된 작업 이전에 존재했던 것보다 더 정확하고 더 좁은 것을 원한다면. 이것은 또한 1982년부터 살라미스의 제방으로 연결된 아기오스 게오르기오스 섬과 페라마의 반대편 해안("군사 페라마"라고 불림) 사이의 해협 폭이 다음과 같다고 언급한 Strabo에 의해 확인되었습니다. 2개의 경기장, 즉 370미터(Strabo IX, I,13:...살라미스의 2단계 페리).

살라미스 해전의 지리적 지점에 대해 혼란을 야기한 또 다른 점은 헤로도토스(Urania VIII 76)에 대한 언급이다. 이 "Keos"가 누구인지, 또는 누구였는지에 대해 많은 정보가 유출되었습니다. 우리는 가설을 세우거나 다양한 이론을 만들거나 따를 필요가 없습니다. 케라치니 만(Keratsini Bay)의 남쪽 근처에 있는 섬으로, 현대에는 해수면 상승으로 인해 수년 동안 스코펠로스에 지나지 않았으나 항구 작업에 통합되었기 때문에 존재하지 않습니다. 케라치니(Keratsini) 항구에서 수행된 일은 키노소우라(Kynosoura)의 경우 이것이 오늘날 살라미스(Salamis)의 작은 바위 반도와 동일하다는 점에 조금도 의심의 여지가 없습니다.

우리 역사 전체에서 중요한 점은 크세르크세스의 왕좌가 있던 곳입니다. 물론 우리가 고려조차 할 수 없는 것은 오늘날에도 '크세르크세스의 왕좌'로 불리는 아이갈레오스 산 정상이지만, 페르시아 왕이 그곳에서 해전을 지켜봤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거리가 너무 멀어서 오늘날에도 우리가 관심을 갖고 있는 해양 지역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보는 것이 매우 어렵습니다. 특히 그 당시에는 쌍안경이 없었습니다... 그리고 우리는 산의 모양이 케라치니 해안 근처에서 가시성을 허용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제쳐두고 있습니다.

Aeschylus(Persai 466-467)는 다음과 같이 언급합니다. "Edran gar는 군대의 모든 귀족, 즉 높은 강둑의 anghi pelagian을 보유했습니다. =왜냐하면 그는 페리기알리 근처의 높은 언덕에 자리를 잡고 자신의 모든 것을 명확하게 볼 수 있었기 때문입니다. 군대." 그리고 우리는 Aeschylus의 말에 의문을 제기하고 그것을 현실과 모순되는 "시적 표현"으로 간주할 이유가 전혀 없습니다. 결국 헤로도토스(우라니아 VIII 90)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습니다:"페니키아인 중 젊은 여성들이 타락하여 왕 대신 와서 이오니아인들을 방해했습니다. =배가 파괴된 페니키아인 중 일부가 왕 앞에 나타나 비방했습니다. 아이오니아인". 그러나 크세르크세스의 왕좌가 아이갈레오 꼭대기에 있었다면 페니키아인들은 그곳에 도달하기 위해 많은 시간을 등반해야 했을 것입니다. 해전은 끝났을 것이고 그들의 주장은 근거가 없었을 것입니다.

Ctesias와 Plutarch는 Xerxes의 왕좌가 Heraklion이라는 위치에 있기를 원합니다. 우선 문제의 유적지 이름은 아이스킬로스와 헤로도토스 시대보다 젊어야 한다고 해보자. 그 이유는 오히려 간단합니다. 비록 우리가 그녀가 아이스킬로스에게 "운율론적으로 나오지 않았다"는 점을 인정하더라도, 헤로도토스는 그녀의 이름을 언급하지 않을 이유가 없었습니다. 그러나 우리가 도달할 수 있는 안전한 결론은 크세르크세스의 왕좌가 아마도 오늘날 케라치니의 아기오스 게오르기오스 교회가 있는 곳에 위치했을 것이라는 것입니다. 그곳에서 행해진 다양한 작업에서 고대 건물의 유적이 발견되었는데, 물론 그것이 헤라클리온에서 왔다는 것을 입증할 수는 없습니다. 그러나 교회의 위치는 아이스킬로스와 헤로도토스의 말과 완벽하게 일치하는 지점에 있습니다. 그리고 해안과 가까워 바다가 막힘없이 보입니다. 물론 이 "방해되지 않는" 상태는 약 50년 전까지만 해도 유효했습니다. 왜냐하면 아파트 건물에서는...

적의 세력

Η Ναυμαχια τις Σαλαμινας ήταν μια σύγκρουστανάμεσα στους Έλλινες και τους Πέρσες. Αυτό ειναι θ γενική αρχή. Πέρα όμΩς από το ερώτιμα για το πόσοι ήσαν από τν κάθε πλευρά, υπάρχει κι ένα άλλο – εξισου σταντικό, αν όχι σιμαντικότερο – ποιοι ήσαν οι Έλλnνες που πήραν μέρος σ' αυτήν τιν σύγκρουσή με τenna πλευρά τοςν Ελήννν και α πό ου απαρτιζονταν ο στόλος των Περσών;

Ας ξεκινήσουμε με τους Έλλινες. Ο ΘΘουκυδιδις – στον οποιο βεβαιτες και δεν μπορούμε να μν ανατρέχουμε, έστΩ και στις ελάχιστες του – στο 1, 74 ράphει:<ναυς μεν γε ες τας τετρακοσιας…=γιατι από τα τετρακόσια πλοια…» . Ο Αισχύλος (Πέρσαι 338-339) μας λέει:«και γαρ Έλλmetσιν μεν Ο ο πας αριθμός ες τριακάδα ναών, =γιατι τριακόσια δέκα ήσαν όλα κι όλα τα ελlamnνικά πλοια,». Και phiτάνουμε στον Ηρόδοτο (Ουρανια Η΄ 82) που αναώρούτο το ναυτικόν τοισι Έλλnσι ες ταδώκοντα κ αι τριτήκοσιας νέας =συμπλήρΩνε το ναυτικό των Ελήντα τριακόσια ογδόντα πλοια». Ο Κτισιας Και ο μεν αριθμός του πρώτου απορριπτεται υπερβολικό ς. Ήταν αδύνατον οι Έλλινες να διαθέτουν τόσα πολλά πλοια. Ο δε αριθμός που αναύτερει ο δεύτερος, ειναι πάρα πολύ μικρός και σιγουρα δεν θα μπορούσε να αντιμεττοτεσει τον αριθμό τwo ν περσικών πλοζν.

Εκτός βέβαια κι αν μπερδεύτнκε και αναphέρεται στον αριθμό μόνον των αθennaναϊκών πλοιΩν. Αλλά αυτό ειναι μια υπόθεσά που δε μπορει να σττιχτει πουθενά. Τελικά ο αριθμός που γινεται αποδεκτός από τους περισσότερους, ειναι τα 380 πουα που θέλει ο Ηρόδοτος. ΌμΩς και αυτός ο αριθμός έχει τα προβλήματά του… Ο Ο ιδιος όμΩς (Ουρανια Η΄ 42-48) όταν γράόι αναλυτικά για τenna κατανομή αυτών τоν πλοονα με τenna πόταπό τenna ν οποια προέρχονταν, τα βγάζει λιγότερα! Για τν ακριβεια κάνει λόγο για 366 τριήρεις και 5 πεντικά ήτορους ήτοι는 371 πλοια를 비교합니다. Βέβαια eta διατορά των 9 πλοήΩν ειναι πολύ μικρή και σαώς δεν αλοιώνει το μέγεθος του στόλου τον Ελήνν, σιγουρα 세부 사항 υόόσταται και θα πρέπει να επιστανθει; Αλλά καλύτερα να δούμε τeta 비교하십시오 κάθε πόλις αναλυτικά. Έχουμε λοιπόν και λέμε:

Τριήρεις ανά πόλι

Αθήνα 180
Κόρινθος 40
Αιγινα 30
Μέγαρα 20
Χαλκιδα 20
Σπάρτι16
Σικυώνα 15
Μέγαρος 10
ΑμβρακΑ 7
Ερέτρια 7
Τροιζήνα 5
Νάξος 4
Ερμιόνmet 3
Λευκάδα 3
Κέα 2
Στύρα 2
Κύθνο 1
/>ΚρότΩνας 1
ΣΥΝΟΛΟ 366

Πεντηκόντοροι ανά πόλmet

Μήλος 2
Κύθνος 1
Σέριτος 1
ΣΚύθνος 1

ΓΕΝΙΚΟ ΣΥΝΟΛΟ ΠΛΟΙΩΝ 371

Στα παραπάνΩ πλοια θα πρέπει να προστεθει ένα ακόμmet, που μάλλον «χρήζει ειδικής μνειας». Πρόκειται για ττου Παναιτιου από τν Τήνο, που δραπέτευσε από τν περσική παράταξι και ενώθnκε με τον στόλο των ΕλήνΩν. Προτανέστατα το πλήρΩμά τις ειχε σκοτώσει ή πετάξει σττιν θάλασσα τους Πέρσες «επιβάτες», που εκτό ττάξει ειχαν Ως αποστολή να επιτнρούν τα πλnetρώματα των ελένικής προέλευσις προέλευσις πτοιτοτού του περσικού στόλου.

Αυτό που επήστει να επισιμανθει ειναι ότι στον ελήνικό στόλο 비교 τριήρς από το ΚρότΩνα. Με άλλα λόγια οι Έλάδας ή αν προτιμάτε, οι Έλάνες άποικοι τις Νότιας και τις ικεάτας, ειχαν αντιλιτατει τenna τεράστια σημαστια που ειχε eta ελ랑τική αντιστασι στν περσική εισβολή. Βέβαια το ένα πλοιο ουσιαστικά έχει는 και μόνον στασια를 비교합니다. Δε θα πρέπει 세부 사항 να ξεχνάμε 세부 사항 ξεχνάμε 세부 사항 ξεχονταν επάθεστι ελάνικές πόλεις τις Μεγάλn Ελάδςα δέχονταν επάθεσταπό τους Καρχιδόνιους. Σύμύότονα δε με τον Ηρόδοτο και τον Αριστοτέλmet, ταποτασιστική μάχιτις Ιμέρας – ανάμεσα στους τοτον Συρακουσών και του Ακράγαντα, υπό τennaν γεσια του Γέλоνα, και τους Καρχnetδόνιους – δόθнκε τνν ιδια μέρα με τenna Ναυμα τennaχι νας.

ΕπομένΩς δεν ήταν δυνατόν – και ψσικά εντελώς παράλογο – να αόσουν τις του που κινδύνευαν και να έλθουν να πολεμήσουν στennaν Σαλαμινα και στennaν Ελλάδα γενικότερα. Όσο για τις διάphορες θετριες Ως προς το γιατι δεν ήλθαν κι άλλες δυνάμεις από τιν Μεγάδα Ελάδα ή τνν «συμαχια» εταξύ Περσών και ΚαρχnδονιΩν, το μόνο που έχουμε να πούμε ειναι ότι ανάγονται στν σταρατς συνΩμοσιολογιας συνΩμοσιολογιας.

Και περνάμε στον περσικό στόλο, ο οποιος μόνο περσικά πλοια δεν ειχε! Πράγμα απολύτΩς phυσικό αόύ οι Πέρσες δεν ειχαν σχέσιμε τιν θάλασσα. Αλλά αν για τους έχουμε κάπορές Ως προς τον αριθμό τον πλοιΩν, για τον στόλο τΩν Περσών έχουμε αύρα μεσάνυχτα». Ο Ηρόδοτος (Πολύμνια Ζ΄ 184) αναόδοτος:«τον μεν εκ τоν νεών των εκ τις Αστος, εουσέΩν επτά και διmetκοσιέwoν και ιέων =τα πλοια που ήλθαν από τν Ασια, ήσαν χτάια διακόσια εότά». Ο Αισχύλος (Πέρσαι 341-343) μας λέει:«Ξέρξι δε, και γαρ οισθα, χιλιας μεν ν Ων ήγε πλήθος, αι δ' υπέρκοποι τάχει εκατόν δις ήσαν επτά =ο Ξέρξις, όπΩς βέβαια ξέρεις, χιλια πλοια οδеγούσε, κι άλλα διακόσια επτά ταχύπλοα». Να επισнμάνουμε ότι τα 1207 πλοια του Ηρόδοτου ειναι πριν τιμες και τιν Στιάδα. Ο Ο Ο άδιος πάντΩς (Ουρανια Η΄66) μιλά για αναπλήρΩσeta των περσικών απΩλειών, με πλοια από τιν Κάρυστο, τenna Άνδρο και ν Τήνο. Οι περισσότεροι πάντΩς που έχουν ασχολιθει με τenna εξιστόριτια τις Ναυμαχιας τις Σαλαμινας 비교 προς αυτόν τον αρι θμό. Ως προς τιν προέλευσι του περσικού στόλου οι περισσότεροι 비교하십시오 αποδέχονται τennaν εξής:

Φοινικες 300
Αιγύπτιοι 200
Κιλικες 100
Λύκιοι 50
ΊΩνες 100
Κάρες 70
Κιώτες 237

ΣΥΝΟΛΟ 1057

Βεβαται υπολειπονται κατά 150 των όσоν αναphέραμε στιν προнγούμενι παράγρατο. ΌμΩς – όπΩς επάσις προειπαμε – δεν υπάρχει καμια ασταλής πynγή. Άλλτοστε σύμόπιστους υπολογισμούς, στιΝαυμαχια τmet Σαλαμινας μπορούσαν να μετέχουν από τenna πλευρά τον Περ σών – με διάphορους τρόπους – το πολύ 1000 πλοια.
(Τέλος Α΄ μέρους. Συνεχιζετα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