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사

스키타이인

스키타이인 및 관련 민족

일반적인 이름을 지닌 광범위한 이란어권 집단 내에서 스키타이인은 엄격한 의미에서 가장 잘 알려진 민족이며 역사와 고고학에 가장 잘 기록된 민족입니다. 따라서 우리는 여기에서 우리의 목적에 필요한 몇 가지 표시만으로 만족할 것입니다.
헤로도토스의 주장에 따라 킴메르인들이 추방되었는지, 아니면 동일한 유목민 연속체 내에서 지배적인 부족의 단순한 변화가 있었는지, 스키타이인들은 기원전 8세기에서 7세기 초까지 폰토스 대초원을 지배했습니다. J.-C. 슬라브족)

스키타이인
스키타이인

스키타이인의 유목민, 목가적, 호전적인 존재는 사르마티아인과 알라니의 후계자들의 존재이기도 합니다. 라이더의 의상, 장비 및 전술의 일부, 일상 생활의 특정 대상은 중세 시대와 그 이후까지 큰 변화 없이 유지됩니다(따라서 오세트인들은 여전히 ​​fyng라는 이름으로 작은 삼각대 테이블을 사용함).

이러한 연속성은 사회적 구조, 종교적 신념, 그리고 “스텝 예술”이라는 연속적인 동물 스타일을 통한 예술적 표현에도 존재합니다. 고고학적 데이터를 통해 우리는 때때로 스키타이인과 그 후계자들에게 주어진 원시 유목민의 단순한 이미지를 깨뜨릴 수 있습니다. 목가적 유목생활은 후진성의 표시가 아니라 이웃 정착민과의 교류나 심지어 고정된 시설의 존재(겨울철)도 배제하지 않는 복잡한 경제입니다. 후기 스키타이인, 그리고 그 뒤를 이어 사르마티아인과 알란인은 선택에 의해 또는 (더 자주) 상황의 압박 하에 정착 생활과 심지어 도시 생활에 대한 큰 적성을 보여주었습니다.

비교가 가능한 많은 점에서 스키타이인의 기술적 능력은 건축과 같은 예상치 못한 분야를 포함하여 정착한 이웃의 기술 능력과 동일합니다. 스키타이인과 관련 민족의 큰 "쿠르간" 또는 장례용 고분은 단순한 흙더미가 아니라 정교한 구조를 포함합니다:돌로 된 둥근 천장, 골조, 우물, 수십 미터의 회랑(스키타이인 사이에서 고분 자체는 높이 20m, 지름 300m 이상 측정 가능)

유명한 "스키타이인의 금"뿐만 아니라 알타이의 "냉동 쿠르간"에서 발견된 부패하기 쉬운 재료로 만들어진 물건을 통해 부족 귀족들이 누렸던 사치와 일상 생활의 상대적인 안락함을 상상할 수 있습니다.
스키타이 시대부터 알란족의 운명에 영향을 미친 두 가지 역사적 전통이 나중에 밝혀지게 됩니다.

첫 번째는 흑해 연안에서 스키타이 문화와 그리스 식민지 개척자들의 문화 사이에서 일어나는 화해입니다. 가장 잘 알려진 번역은 기원전 4세기의 훌륭한 혼합 장식 예술입니다. J.-C., 그러나 우리는 무엇보다도 헬레니즘과 “스키티그마” 사이의 고대의 친밀성을 유지해야 합니다. 두 번째는 기원전 7세기와 6세기에 북부 코카서스 지역과 중부 코카서스 지역의 이란화(더 정확하게는 "스키타이화")입니다. 렌(ren)에서는 대코카서스(Tli의 묘지)의 남쪽 경사면까지 스키타이 문화의 요소에 대항합니다. 고고학에서는 엄격하게 스키타이인인 코카서스 기념물과 혼합된 것(날치크 근처 나르반에서와 같이 스키타이인과 원주민 장례식의 공존), 그리고 스키타이 문화에 크게 영향을 받은 원주민에 기인한 다른 기념물을 구별합니다. 경우에 따라 영구적인 지배, 단순한 습격, 공생 또는 융합이 있었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상호 영향은 명백합니다(예:동물 예술).

기원전 1천년 중반, 우크라이나와 코카서스의 스키타이인들은 돈과 우랄 사이의 대초원과 시베리아의 광대한 영토를 점유했던 이란어를 사용하는 대규모 "스키타이인", 유목민 그룹의 가장 서쪽 부분에 불과했습니다. 그리고 중앙아시아. 돈 강 동쪽에는 미래 사르마티아인의 조상 중 적어도 일부를 대표하는 사우로메이트(Sauromates)가 있습니다. 카스피해 동쪽과 아무다리야 강까지 마사지족과 사세스족이 아케메네스 페르시아와 접촉하고 있습니다. 키루스 대왕은 전자와 싸우다 전사했다고 하며, 우리는 후자에 대한 페르시아의 여러 표현을 알고 있습니다(페르세폴리스의 지류로 표현, 베히스토운의 스컹카 왕의 부조).

이들 관련 인구는 모두 안드로노보 문명(기원전 17~9세기)에서 유래했습니다. 서부 스키타이인과의 연관성은 고대에 잘 알려져 있습니다. 헤로도토스는 사우로마테인이 스키타이어의 "타락한" 형태를 사용하며 페르시아 비문에서는 스키타이인과 사케스에게 Sakâ라는 동일한 이름을 부여했다고 보고합니다.

지금 당장 강조해야 할 점은 - 이것은 후기 시대에도 적용됩니다 - 고대 자료가 우리에게 "민족"으로 제시하는 것은 사실 오히려 유목민 방식의 연맹이며, 지배적인 부족을 중심으로 뭉쳐 있고, 해체되기 쉽고 빠르게 회복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그들의 이름은 서로 다른 "스키타이"(동부 이란어) 방언 사이에 존재했음이 틀림없는 방언 구별이나 잘 개별화된 고고학 문화와 반드시 일치하는 것은 아닙니다. 그리스와 페르시아의 명명법은 정확히 일치하지 않습니다. 헤로도토스가 스키타이인, 사우로메이트, 마사지테스 및 기타 "민족"에 대해 말하는 곳에서 페르시아인은 단순한 별명으로 구별되는 Sakâ만을 알고 있습니다. 따라서 다리우스의 비문은 "바다 너머에서 온" Salai tyaiy Paradraya, "뾰족한 모자를 쓴" Sakâ tigrakhaudâ, 그리고 Sakâ haumavargâ("제조자" 또는 "하오마(아리아스의 신성한 음료)의 숭배자"를 연상시킵니다. 심지어 "하오마 늑대(haoma wolves)"도 언급되어 있습니다. Sakâ tyaiy Paradraya는 아마도 우크라이나의 스키타이인일 것입니다. Haumavargâ는 인용된 "Amyrgetes"에 해당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박트리아인과 함께 헤로도토스에 의해, 그리고 그의 "Orthokorybantes"에 Tigrakhaudâ에 의해.

이들 인구의 상대적인 언어적, 문화적 통일성은 어떠한 정치적 연대도 수반하지 않으며, 전쟁이나 생태적 조건의 변화로 인한 잦은 이주 이동으로 인해 부족들은 동요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움직임은 매우 유동적인 유목민의 세계에서 단계적으로 반향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다음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