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투가 전개되자 퍼시벌은 조호르 동쪽에 자리 잡은 호주 제8사단을 지휘하는 히스 장군 및 베넷 장군과 협의했습니다. 베넷은 질서있게 철수하여 1월 16일 세란다, 1월 21일 포트딕슨, 1월 24일 탬핀에 도달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퍼시벌은 만약 그가 2월 중순까지 적을 육지에서 붙잡을 수 있다면 베넷의 사단을 그때쯤이면 제18사단이 도착했고 베넷은 반격을 시작할 수 있는 위치에 있게 되었습니다. 1월 8일 비행기로 싱가포르에 막 도착한 웨이벨은 세가마트에서 열린 회의에 참석해 호주군의 3군단 구호와 조호르 방어에 대해 논의했다.
그러나 모두 일본 공격의 속도, 추진력 및 무게가 강화됨에 따라 결정은 곧 쓸모가 없다는 것이 입증되었습니다. Wavell이 아직 회의에 있는 동안 제5 제국 근위 연대가 이포에 도착했습니다. Yamashita는 나머지 Mutaguchi의 18사단이 Endau에 상륙하도록 준비하여 북부 조호레에서 퇴각하는 영국군을 위협했습니다. 그 사이 일본군 제5사단은 전진해 11일 오후 8시 3군 본진인 쿠알라룸푸르에 입성했다. 휘발유와 연료유는 모두 소각됐지만 일본군은 막대한 양의 식량과 장비를 압수했다. 야마시타가 5주 동안 쉬지 않고 전투를 벌여온 제5사단을 쉬게 하고, 근위대 사단을 포트딕슨 남쪽 서해안 말라카에 파견하기로 결정한 날이 바로 이날이다. 그는 또한 제18사단이 엔다우가 아닌 송클라에 상륙하고 육로로 조호레로 하강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야마시타는 조호레 방어에 대한 퍼시벌의 유일한 희망은 무아르 전선이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그는 니시무라에게 강제 통행을 명령하여 주요 도로를 통한 영국의 통신을 위협했습니다. 이 지역에서 니시무라의 상대는 호주 제8사단(제22여단 제외), 제9인도사단 및 싱가포르에서 가져온 여러 부대로 구성된 "웨스트포스"라고 불리는 잡다한 부대를 지휘하는 베넷 장군이었습니다. Bennett의 계획은 MuarBatu Anam 라인에서 일본군을 고정시키는 것이었고 이 목적을 위해 그는 Gemas에 호주 제27여단을 배치했습니다.
Bennett는 일본군을 견제하기 위해 그들을 배치해야 한다고 느꼈습니다. 진행 축에 대한 일련의 매복; 처음에 그는 고무적인 성공을 거두었습니다. 그러나 일본군의 전력은 계속해서 커졌고, 11일 마쓰이 장군이 작전 지휘권을 맡게 되었습니다. 진군은 기록되지 않았지만 임페리얼 가드 사단은 해안을 따라 하강하기 시작했고 곧 베넷은 통신이 위협받는 것을 목격했습니다. 더 나쁜 것은 무아르에 대한 반격을 위해 출격한 인도 부대가 매복 공격을 당했다는 것입니다. 니시무라 장군은 어려움 없이 무아르 강을 건넜고 "서부군"은 후퇴만 하면 되었습니다.
1월 19일, 웨이벨은 후퇴에 대한 자세한 계획이 수립되지 않았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싱가포르 섬도 방어를 위해서도 아닙니다. 그는 처칠에게 메시지를 보내 조호레를 잃으면 기지는 더 이상 방어할 수 없을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동시에 그는 Percival에게 다음과 같이 전보를 보냈습니다. “본토에서 군대를 철수하는 문제를 해결해야 합니다. . . 그리고 섬의 방어를 연장할 해결책을 찾으세요. 다음날 퍼시벌은 자신의 계획을 발표했는데, 이는 자신의 군대를 세 개의 기둥으로 후퇴시키고 조호르 바루를 통과하는 통로를 덮을 교두보를 건설하는 것이었습니다. 20일 Wavell은 비행기로 싱가포르로 돌아와 그의 지시에도 불구하고 섬 북쪽의 방어를 강화하기 위한 조치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음을 발견했습니다. 그는 퍼시벌에게 더 이상 시간을 낭비하지 말라고 촉구했습니다. 참모총장의 메시지가 그의 지시를 뒷받침했다. 이들은 지상 공격에 대응하기 위해 요새의 총을 변형해야 한다고 요구했습니다. 조호르 해협의 상륙 지점에 포격을 준비하고, 사용 가능한 모든 무기를 사용하여 자급식 방어 대형을 구성해야 합니다.
안드레아스 호퍼(Andreas Hofer)는 1767년 오스트리아 티롤 지방에서 태어났습니다. 그의 가족은 아버지가 돌아가신 후 그가 물려받은 여관을 운영했습니다. 동시에 그는 포도주와 말 무역에 참여했습니다. 1791년에 그는 합스부르크 제국 내에서 자치권을 누렸던 티롤 지역 의회 의원으로 선출되었는데, 이는 그곳 주민들이 높은 독립 정신을 유지했기 때문입니다. 그들은 스스로를 황제의 신민이라고 선언했지만, 내정에 대한 중앙 정부의 간섭을 최소한으로 유지했습니다. 이러한 독립 정신은 얼마 지나지 않아 프랑스와 바이에른 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