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의 역사

1945년 겨울:수십만 명이 발트해를 건너 탈출했습니다.

1945년 1월 붉은 군대의 공세 이후 동프로이센은 단절되었습니다. 사람들은 발트해를 건너야만 도망갈 수 있다. 일회성 구출작전이 시작됩니다.

작성자:더크 헴펠

1945년 1월, 소련군은 넓은 전선으로 동쪽의 독일 국경을 넘었습니다. 지친 독일군은 젊은이와 노인을 포함하여 공격에 반대할 것이 없습니다. Wehrmacht의 전멸 전쟁에 대한 보복을 두려워하여 동프로이센뿐만 아니라 포메라니아와 실레지아에서도 수십만 명의 사람들이 도망쳤습니다. 일부는 예정된 급행열차를 타고 즉시 떠나고, 다른 일부는 마지막 순간까지 기다립니다. 역시 나치 당국이 처음에 탈출을 금지했기 때문입니다.

며칠 후 탈출 경로가 끊어짐

이제 사람들은 서둘러 농장과 저택을 떠나야 합니다. 그들은 보통 짐을 많이 실은 마차와 썰매를 싣고 트레킹을 하거나 도보로 이동합니다. 왜냐하면 동프로이센에는 1월에 눈이 많이 내리기 때문입니다. 온도계는 영하 25도까지 떨어집니다. 많은 사람들이 도중에 지쳐 죽습니다. 특히 어린 아이들은 영하의 기온에 얼어 죽습니다.

단 열흘 만에, 예상치 않게 동프로이센 남부에서 진군한 소련 전차가 단치히에서 몇 킬로미터 떨어진 엘빙 근처 해안에 도달했습니다. 이로 인해 서쪽으로의 탈출 경로가 차단됩니다.

최후의 보루가 된 필라우(Pillau) 항구

이제 유일한 탈출구는 발트해를 향해 북쪽으로 더 나아가 지방 수도인 쾨니히스베르크(Königsberg)를 거쳐 필라우(오늘날의 발치스크)로 가는 것입니다. 이 작은 마을에는 수많은 항구 유역이 있으며 서쪽으로 50km 떨어진 비스툴라 석호 입구에 위치해 있습니다.

Pillau 항구에서 승선합니다. 난민들은 동물, 마차, 가정용품을 남겨두고 떠나야 합니다.

그곳에서 1월 말, 역대 가장 광범위한 해상 구조 작전이 시작됩니다. 해군은 잠수함 학교에서 병사들을 배를 타고 서쪽으로 수송하는 임무를 맡았습니다. 그들은 또한 최초의 민간인, 어린 자녀를 둔 여성, 임산부도 데려갑니다. 이제 점점 더 많은 사람들이 필라우(Pillau)로 피난하고 있습니다. 주민이 12,000명에 달하는 작은 마을은 곧 혼잡해집니다. 때때로 최대 75,000명의 굶주리고 얼어붙는 난민들 모두가 체육관, 막사, 교회 또는 개인 아파트에 수용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많은 사람들이 야외에서 자야 합니다. 몇 안되는 빵집 앞에서는 이른 아침부터 사람들이 빵을 놓고 싸우고 있다. 묘지에는 영안실 주변 야외에 시신이 쌓여있습니다.

1월 25일부터 난민, 지뢰찾기, 어뢰정, 순양함, 예인선, 쇄빙선, 트롤선, 석탄선, 유람선을 수용하기 위한 선박이 도착합니다. 첫 번째 운송이 여전히 질서정연하게 진행된 후에도 난민 목록이 기록되고 선박 티켓이 발급되며, 곧 수천 명의 사람들이 종종 며칠 동안 항구에 서서 선박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다른 사람들은 발트해와 석호 사이의 좁은 땅인 비스툴라 스피트(Vistula Spit)까지 페리를 타고 건너가는데, 이 땅은 아직 소련이 점령하지 않았으며 그단스크와 포메라니아를 향해 서쪽으로 이어집니다.

몇 척의 배를 타고 달려보세요

붉은 군대의 병사들은 멀지 않은 곳에 며칠 동안 쾨니히스베르크(Königsberg)로 가는 길을 점거하고 있는데, 그곳의 많은 주민들은 아직 상황의 심각성을 인식하지 못하고 있고 아이들은 정원에서 눈사람을 만들고 있습니다. 동시에, 필라우(Pillau) 사람들은 들어오는 몇 척의 선박을 습격하기 위해 필사적으로 노력하고 있습니다. 군중 속에서 많은 사람들이 땅에 쓰러지고 다른 사람들은 그들을 짓밟습니다. 아이들은 엄마와 헤어집니다.

군인들은 돌진을 막으려고 노력합니다. 소련 비행기가 도시 상공을 돌며 항구를 폭격하고 있습니다. 그 뒤에는 자동차, 마차, 마차, 빈 유모차뿐 아니라 말과 개 등 모든 종류의 차량이 남아 있습니다. 큰 여행 가방과 가방이 물에 떠 있습니다. 2월 중순까지 200,000명 이상의 사람들이 Pillauer Hafen을 통해 추방될 것이며, 50,000명의 난민이 Vistula Spit으로 건너갈 것입니다. 그러나 종종 선박의 화물창은 군인, 무기 및 군용 차량을 제거하기 위해 예약되어 있습니다.

데크에는 사람들이 붐비고 있습니다

동프로이센 난민들이 발트해를 건너 며칠간 도망친 끝에 킬에 도착합니다. 종종 그들은 생명을 구하는 것 이상의 일을 하지 않았습니다.

배는 종종 호송대를 타고 Pillau를 떠납니다. 전함은 소련 잠수함과 비행기의 공격으로부터 그들을 보호하는 것입니다. 화물선의 화물창은 짚으로 덮여 있습니다. 그곳은 여객선의 객실만큼이나 난민과 부상당한 군인들로 붐비고 있습니다. 그리고 갑판에는 앉을 공간이 없어 수백 명의 사람들이 붐비는 경우도 많다. 때로는 묽은 완두콩 수프가 있고, 종종 갑판에 쌓인 눈이 식수로 사용되어야 합니다. 하지만 난민들은 탈출해서 기뻐합니다. 그들은 선교에서 잠수함 경보가 반복적으로 발령된다는 사실을 모릅니다.

'빌헬름 구스틀로프'호의 침몰

목적지는 대부분 Usedom의 Swinemünde입니다. 거기에서 기차를 타고 플렌스부르크(Flensburg), 뤼베크(Lübeck) 또는 킬(Kiel)까지 바다를 이용해 계속 이동합니다. 그러나 선박은 종종 소련군에 포위될 그단스크나 그딩겐(고텐하펜)에만 화물을 착륙시키며, 이곳에는 수만 명의 사람들이 모여 다른 선박이 서쪽으로 데려오기를 기다립니다.

전쟁 전에 "Wilhelm Gustloff"는 지중해에서 항해를 시작했습니다. 1945년 1월 30일 발트해에서 침몰했습니다.

1월 30일에는 여객선 "빌헬름 구스틀로프(Wilhelm Gustloff)"가 이곳으로 출항했습니다. 탑승한 난민의 수는 오늘날까지도 여전히 논란의 여지가 있습니다. 아마도 6,000명 정도였을 것입니다. 다른 소식통에서는 10,000명이라고 합니다. 출발 몇 시간 후, 나치 조직 "기쁨을 통한 힘"의 전 유람선이 포메라니아 해안에서 소련 잠수함에 의해 어뢰되었습니다. 배는 한 시간 안에 가라앉을 것이다. 약 1,200명 정도만 구원받을 수 있습니다.

난민 선박은 반복적으로 지뢰에 부딪히고 소련 잠수함이나 비행기에 의해 침몰됩니다. 4월 중순, 어뢰 화물선 '고야'가 몇 분 만에 침몰하고, 탑승자 약 7,000명 중 소수만이 구조됐다. 거의 동시에 SS는 바지선과 바지선을 타고 단치히 근처 슈투트호프 강제 수용소에서 홀슈타인의 노이슈타트로 3,000명 이상의 수감자를 수송했습니다.

코펜하겐으로 향하는 선박

해상을 통한 동프로이센, 단치히, 포메라니아의 철수는 전쟁이 끝날 때까지 계속되었습니다. 그디니아는 3월 말에 소련의 손에 넘어갔고, 쾨니히스베르크는 4월 9일에야 항복했습니다. 현재 약 75,000명의 사람들이 여전히 도시 폐허에 살고 있습니다. 그러나 선박은 계속해서 Pillau로 오고 있으며, 여기에서 이제 발트해 반대편의 중립 스웨덴에 있는 항구로 향하고 있지만 무엇보다도 여전히 Wehrmacht가 점령하고 있는 코펜하겐으로 향하고 있습니다. 이곳에는 평화가 있는 것 같습니다. 옷을 잘 입은 사람들은 일하러 가고, 상점에서는 모든 것을 살 수 있습니다. 그리고 난민들은 목숨 외에는 아무것도 구하지 못한 경우가 많습니다.

마지막 선박은 4월 23일경에 Pillau를 출발합니다. 난민이 얼마나 남아 있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며칠 후 소련군이 치열한 전투 끝에 도시를 점령했습니다. 1945년 1월부터 4월 사이에 약 450,000명의 난민이 이곳에서 배를 타고 이송되었습니다. 지난 3월 한자 동맹 도시가 함락된 이후에도 수만 명의 난민이 여전히 구출되고 있는 단치히 앞의 헬라 반도는 항복할 때까지 독일의 손에 남아 있다.

슐레스비히홀슈타인이 난민국이 되다

1946년에는 슐레스비히홀슈타인 지역 주민 4명당 난민 3명이 있었습니다. 이곳은 1945년의 난민 수용소입니다.

발트해에서 구조 작업에는 수백 척의 선박이 참여했습니다. 바다에서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구조되었는지는 아직 불분명합니다. 숫자는 800,000에서 250만 사이입니다. 난파선으로 인해 20,000명 이상이 사망했습니다. 그러나 동프로이센, 단치히, 포메라니아에서는 적어도 300만 명이 여전히 소련의 지배를 받고 있습니다. 그들 대부분은 1940년대 말에 집에서 쫓겨났습니다.

동독인의 상당 부분이 슐레스비히홀슈타인에 머물렀고, 이후 독일연방공화국이 되었으며, 100만 명이 입국하여 난민이 가장 많은 국가가 되었습니다. 일부 도시와 마을에서는 주민 수가 두 배로 늘었습니다. 1948년에는 뤼베크 인구의 40%가 난민이었습니다. 그들은 종종 비상 대피소와 집결소에서 생활하는데, 1950년대 초에도 여전히 전국에 700명 이상이 있었습니다. 수년에 걸쳐서야 집권 정치인들이 통합에 성공하고 있으며, 장기적으로 외국의 침투와 이주를 두려워하는 지역 주민들의 저항에 맞서는 경우가 많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