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류의 역사는 언제나 부자와 가난한 사람 사이의 계급투쟁으로 볼 수 있습니다.
로마공화국의 역사는 귀족과 평민의 갈등의 역사이기도 했다.
로마를 다른 어떤 정권과 차별화시키는 것은 " 트리뷴 "입니다. "귀족에 대항하는 평민조직으로. 제도가 있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이번에는 그러한 "트리뷴"의 역사입니다.
임기는 1년으로 평민회의에서 선출한다
로마 정치는 단순하면서도 복잡해 보입니다.
귀족들의 본거지인 상원은 국가의 의사결정 기관이지만 시민회의와 평민회의도 있다. 때로는 영사가 있고 때로는 독재자가 태어나는데, 사실 상원 자체에는 행정권이 없습니다.
호민관 제도가 언제 탄생했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기원전 494년에 탄생했다는 설이 유력하다.
처음에는 2명이었지만 12탁법에 따라 수용인원이 10명으로 늘어나 인기가 영사처럼 1년째 이어지고 있다. 귀족들도 참여하는 시민대회가 아닌, 평민들만이 참여할 수 있는 평민대회에서 선거를 통해 당선된 평민들이 그 임무를 맡게 됐다.
신체는 신성한 불가침성을 약속받았으며 영사와 상원의 결정을 거부할 권리가 주어졌습니다.
현 유엔 상임이사국들의 거부권은 추적해보면 이 지경에 이를 것이다.
그러나 이 거부권과 독재자는 효과가 없었습니다. 이 점은 독재자가 아래에서 자신의 권리를 강력하게 행사할 수 있는지 여부를 보여줍니다.
처음에는 거부권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그다지 강력하지 않았습니다. 결국 집행기관인 영사는 사실상 영향력 있는 귀족들이 차지한 셈이다.
그 변화는 Sextian-Licinius Sextian-Licinian Act의 제정이었습니다.
호민관 리키니우스의 성공으로 기원전 367년 평민 중에서 두 집정관 중 한 명을 선출하는 법은 평민의 권리 향상에 크게 기여했다.
기원전 287년에 제정된 호르텐시우스 법에 따라 평의회 결의안은 원로원의 승인 없이 국보가 되었습니다.
호민관의 실제 역할은 귀족과 평민을 조정하고 연결하는 것이었습니다.
훗날 로마에서 개혁을 이룬 그라수스 형제도 호민관이었는데, 이것이 호민관의 정점이었다고 할 수 있다.
그라수스 형제 이후 호민관 제도는 점점 더 로마 정치인들의 관문이 되었고, 그들의 권리는 종종 남용되었습니다.
로마법에 따르면 호민관을 비롯한 중요한 공직을 맡은 사람은 누구나 원로원 의원이 될 수 있었습니다. 또한 다른 중요한 직위는 귀족들이 차지하면서 상원의원이 될 수 있는 기회 중 하나이기도 했습니다.
로마제국에서는 아우구스투스가 호민관의 권한만을 매년 갱신하여 호민관의 권한만 황제에게 넘겨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