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술의 발전은 항상 그에 상응하는 사회 및 경제의 발전과 상호 연결됩니다. 중세의 폐쇄적이고 사회 경제적 사회에서는 고귀하고 기마 전사 기사의 원형이 나타날 수밖에 없었습니다. 그러나 사회가 발전하면서 국가별, 시대별 군사적 관점도 달라졌다.
무술의 첫 번째 혁명은 의심할 여지 없이 16세기 초 이탈리아에서 일어났으며 이탈리아 르네상스의 산물이며 분명히 그리스에 기원을 두고 있습니다. 당시 사람들은 점차 중세의 어둠에서 벗어나 새로운 시대의 외침에 마음을 열었지만 과거의 교훈을 바탕으로 하고 있었습니다.
그리고 당시의 전쟁 전술은 고대 그리스, 로마, 비잔틴 전쟁 전술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었습니다. 역사를 통틀어 유명한 스페인곤잘로 데 코르도바와 같은 장군들이 그들은 불가능한 일을 해냈고, 유럽 전역의 유명한 프랑스 중기병대, 프랑스의 귀족 기사단, 그리고 지금까지 무적이었던 프랑스 왕의 스위스 용병들을 격파했습니다.
데 코르도바가 개발한 콜루넬라(=팔랑크스) 진형은 알렉산더 대왕 군대의 축소판이었습니다. 그들 각각의 핵심은 매우 깊게 그려진 사리소포로 구성되어 있으며, 크레타 궁수와 아그리아 창병이 알렉산더의 지골을 지원했던 것처럼 화승총의 지원을 받았습니다.
각 콜로넬라의 많은 병사들도 로마 군단병처럼 싸우도록, 즉 검과 방패를 들고 집단으로 싸우도록 훈련을 받았습니다. 콜루넬라스는 스페인 보병에게 심각한 전술적 이점을 제공했으며, 이러한 이점은 16세기 중반에 테르티오 대형이 발견되면서 더욱 극대화되었습니다.
테르티오스는 사리소병과 화승총병(나중에 총사)으로 구성된 소규모 보병 대형으로 초기에는 1:1, 이후에는 1:2의 비율로 구성되었습니다. Sarrisophores의 지골은 30명의 병력으로 구성된 매우 깊은 대형(깊이 50패덤)으로 구성되었습니다. 팔랑크스의 네 "모서리"에는 화승총병 사단이 10 비늘 깊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그 앞에는 37명이 있었습니다.
테르티오의 총 병력은 3,000명에 이르렀습니다. 그러한 대형은 매우 작고 강력하지만 이동 속도도 매우 느리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17세기 초까지 각 테르시오의 병력은 1,500명으로 제한되었습니다. 이는 30년 전쟁에서 스웨덴에 패배한 테르시오 제국의 군대였습니다.
그러나 가장 큰 발전은 네덜란드에서 나왔습니다. 벨기에를 포함한 당시 네덜란드는 스페인에 속해있었습니다. 그러나 네덜란드인들은 스페인의 통치를 용인할 의사가 없었습니다. 그들은 이에 반기를 들고 80년 간의 전쟁 끝에 마침내 독립을 쟁취했습니다. 승리하기 위해 네덜란드는 이전에 무패의 스페인인 Tertio를 이겨야 했습니다.
그들의 지도자는 나소 왕자 모리셔스입니다. , 비잔틴 표준에서 솔루션을 찾았습니다. 그는 각각 약 520명의 병력을 갖춘 소규모의 유연한 부대인 대대를 창설했습니다. 이들 중 3/5은 머스킷 총과 2/5는 사리를 휴대했습니다. 이 대대는 겨우 10패덤 깊이에 줄을 섰습니다.
비잔틴인들은 중앙 장갑보병의 지골이 궁수들의 지원을 받는 혼합 구성의 유연하고 쉽게 관리할 수 있는 소규모 부대를 창설한 선구자였다는 점은 주목할 가치가 있습니다. 네덜란드 대대의 가장 큰 장점은 부피가 큰 테르티오(Terthios)로 뒤덮인 스페인군보다 더 적은 수의 병력으로 더 넓은 전선을 덮을 수 있다는 점이었습니다.
즉, 그들은 다시 한번 힘의 절약의 원칙을 실천에 옮기는 것입니다. 네덜란드는 새로운 "비잔틴" 전술을 사용하여 스페인을 상대로 큰 승리를 거두고 자유를 얻었습니다. 또한 중요한 단계는 그의 군대의 전투 구성에 그리스 전술이기도 한 평행 전선 전술을 다시 도입하는 것이었습니다.
보병대대는 대형의 중앙에 배치되었으며, 적어도 두 줄의 전투열이 서로 뒤에 배치되었으며, 그 사이에는 대대 전면의 길이와 같은 빈 공간이 있었습니다. 두 번째 열의 대대는 첫 번째 열의 틈새 뒤에 배치되었습니다.
이런 식으로 보병의 첫 번째 열이 패배하면 두 번째 열을 혼란스럽게 하지 않고 틈새를 통해 안전하게 후퇴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제1열을 증원해야 한다면 제2대대는 그 틈새를 무질서하게 하지 않고 통과하여 제1열의 전투를 강화할 수 있었다. 이 형태를 십자형 또는 체커보드 형태라고 합니다.
그러나 나사우의 모리스(Maurice of Nassau)가 다시 도입한 새로운 전술은 극북 지역에서도 모방자를 발견했습니다. 그곳, 스웨덴의 작은 왕국에는 북방의 선택받은 사자, 구스타프 아돌푸스 왕이 있었습니다. 그는 네덜란드 전쟁의 교훈을 주의 깊게 연구하고 이를 자신의 군대에 적용했습니다.
그러나 구스타보스는 한 걸음 더 나아갔다. 그는 자신의 대대를 여단으로 조직했는데, 여단당 3개 대대가 있었습니다. 각 3개 여단은 일반적으로 상단에 1개 대대, 하단에 2개 대대를 배치하는 삼각형 대형으로 배치되었습니다. 그러나 전술적 상황에 따라 역전될 수도 있다. 구스타프는 기병과 포병도 다루었습니다.
당시 기병은 카라콜 전술에 맞서 싸우는 권총을 들고 다니는 기병들로만 구성되었습니다. 기병들은 6~10패덤 깊이에 줄을 섰습니다. 그들은 상대에게 접근해 권총과 카빈총으로 그를 쏘곤 했습니다. 그가 배치한 각 멍에는 뒤로 이동하여 무기를 재장전했습니다.
다음 쌍은 상대가 구부러지는 조짐을 보일 때까지 동일한 과정을 계속해서 반복합니다. 그제서야 기병대가 검을 들고 그에게 돌진했지만 대형의 결속을 방해하지 않기 위해 속도는 거의 없었습니다. 당시 모든 유럽 군대의 기병대는 바로 이런 방식으로 싸웠으며, 이는 오스만 제국에 맞서 특히 효과적인 것으로 입증되었습니다.
구스타프는 알렉산더의 동료들처럼 쐐기 대형으로 적군을 상대로 손에 검을 들고 빠른 속도로 돌격하도록 기병을 훈련시켰습니다. 이런 식으로 그의 기병대는 1631년 브리덴펠트와 1632년 리첸에서 더 중무장하고 무장한 제국 기병대를 격파함으로써 기념비적인 승리를 거두었습니다.
포병에 관한 한, 구스타프는 그의 무기고에 경포를 다시 도입했고, 그는 보병 여단의 즉각적인 지원을 위해 이를 유기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