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연해 보일 수도 있지만 사실은 우리가 조각상, 비석, 묘비, 기념비에서 볼 수 있는 거의 모든 로마 비문은 대문자로 쓰여 있기 때문에 저작물에서는 대문자만 사용한 것으로 보입니다. 로마인들도 필기체를 사용하고 소문자를 사용했기 때문에 사실과 더 다를 수 없습니다.
실제로 대문자로 쓴 필기체 쓰기는 예를 들어 편지를 쓸 때, 학교에서 아이들이, 상인이 장부를 보관하기 위해, 또는 황제가 명령을 내릴 때 사용하는 일상적인 글쓰기의 형태였습니다. 관료집단이 쓴 글이기도 하고, 문서보관소에 보관되어 있던 법률의 원본이 파피루스에 적혀 있는 글이기도 했다.
그러나 법률을 공개하고 일반 대중이 읽을 수 있도록 의도된 모든 비문에는 대문자를 사용했습니다. 왜냐하면 이탤릭체는 기본 교육 수준을 통과한 사람만 이해할 수 있었기 때문입니다.
플라우투스의 작품 Pseudolus (사기꾼)은 많은 로마인들이 이 책을 읽기가 어렵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플라우투스, 슈돌루스 21-30
이 고대 필기체는 서기 3세기까지 사용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영국의 빈돌란다 수용소에서 발견된 서판과 폼페이에 보존되어 있는 많은 비문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이는 파피루스에 사용되었으므로 이러한 이유로 우리에게 전해지는 예는 그다지 풍부하지 않습니다.
덕분에 우리는 합자가 거의 사용되지 않았으며 A와 같은 일부 문자는 여전히 인식하기 어렵거나 B 및 D와 같이 혼동될 수도 있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이러한 유형의 글쓰기는 대문자로 쓰는 것에서 발전했을 것입니다. 빠른 속도로 타이핑할 때 단순화와 개요를 적용한 결과입니다.
3세기부터 이 오래된 필기체는 새로운 필기체로 발전하여 중세 시대인 7세기경까지 사용되었습니다. 글자에는 이미 우리에게 훨씬 더 친숙한 철자가 있으며, 합자를 사용하여 오래된 필기체와 크기가 달라지는 대신 비례하기 시작합니다. 사라진 서부 제국의 여러 지역에서 오늘날 우리가 사용하는 소문자를 발생시키는 것은 (언셜체 및 준셜체와 함께) 이 글이 될 것입니다.
일부 연구자들은 언셜체 서예도 고대 필기체에서 진화했으며 서기 3세기부터 사용되기 시작했다고 믿습니다. 새로운 이탤릭체와 동시대였을 것입니다. 차별화된 점은 언셜 문자(성 제롬이 언셜 문자에 대해 말하는 텍스트를 해석하는 중 오류로 인해 그렇게 불림)라는 것입니다. 대문자를 언급할 때)는 파피루스만큼 거칠지 않은 양피지와 같은 새로운 지지체를 사용하여 더 긴 획을 사용하여 펜을 떼지 않고도 쓸 수 있었기 때문에 둥근 모양을 가졌습니다.
단축인 세미언셜체입니다. 이 버전은 Hilario의 Codex Basilicanus에 나오는 언셜체라고 불리며 3세기에 사용되기 시작했으며 언셜체와 마찬가지로 8세기까지 사용이 확장되었습니다. 처음에는 이교도 작가들만이 이 단어를 사용했지만, 6세기부터는 기독교 문헌을 필사하는 데도 사용되기 시작했습니다. 준언셜체는 영국 제도에서 특히 성공적이었는데, 영국 제도에서는 5세기에 이 문자가 도착하여 고대 영어 라틴 알파벳 생성의 기초가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