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분 시대 3세기 후반부터 6세기 후반은 문자가 없는 문명 속에서 일본 역사상 가장 번영한 시대였을 것이다. 문화적 정점 그것은 조몬 시대와 야요이 시대에 생겨났다고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동시에 미래 일본이라는 국가를 형성하는 계기가 되는 시기이기도 했습니다.
이번에는 고분의 제작 배경을 고려하여 야요이 시대 중후반에 걸쳐 글을 쓰고 싶습니다.
고분 탄생까지의 흐름
고분 시대로 이어질 수 있는 몇 가지 이벤트는 다음과 같습니다.
일본의 이벤트
기원전 2~1세기경
기온은 이 시기쯤에 최고조에 달했다가 떨어졌습니다(야요이 시대는 따뜻한 시대에서 추운 시대로의 전환기였습니다).
고훈시대(6세기)까지 이어졌습니다.
서기 1세기경
- 홍수는 서일본을 중심으로 빈번하게 발생 ⇒ 기후 변화로 인해 수확량이 불안정함
- 철기가 넓은 지역에 퍼져 있다
- 고지대 마을의 모습
일본의 민족통일과 고산촌 분포의 변화:야마타이에 대한 총평 - 왜국의 여왕 히미코의 정체는 무엇인가?
야스다 요시노리 1990 아사쿠라 서점 『기후와 문명의 흥망』
(↑ 서기후의 수치이지만 야요이 시대 당시의 기후가 안정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한반도, 중국의 사건
기원전 206년 (=기원전 3세기 말)
<스트롱> 진 대륙에서 멸망 이후(기원전 221년~기원전 206년),
<스트롱> 한 Gaozu Liu Kun 설립
기원전 195년(=기원전 2세기 전반)
고조의 위만 조선씨 한반도에서 나라를 세웠습니다.
기원전 108년
한국 마모루 씨는 한족에 의해 파괴되었습니다. 낙랑현, 진판현, 린툰현, 쉬안투현
로한나라의 영토가 됩니다.
물론 기원전 3세기 이전에도 중국과 한반도에서 이주한 사람들이 있었지만, 이 짧은 기간에 이웃 나라에서 이런 움직임이 있었다면 일부는 탈출하는 것이 당연했을 것이다.
그 직전인 기원전 219년, 서복이라는 사람이 불로불사 약을 얻기 위해 진시황의 명을 받아 많은 기술자들과 함께 일본 열도에 왔습니다. 이전과 달리 그는 일본 열도에 대한 대규모의 계획적인 식민지 개척자였던 것 같습니다. 지금도 '서복전설'은 일본 각지에 남아있습니다.
아마도 기원전 3세기와 2세기의 혼란으로 인해 이주민도 증가했을 것이다. 규슈 북부에서는 일찍부터 철이 유입되었다고 합니다. 이후 사람들의 이동으로 인해 서기 이후에는 철기가 점차 확산될 것이다. 동시에 고지대 마을도 확장되고 있다.
철기의 탄생
철기 유통과 고원 마을에서 북부 큐슈-세토우치-키나이 이들 사이에는 무력충돌을 비롯해 정치적 갈등이 있었던 것으로 추측된다.
또한, 사람이 살았던 흔적이 전혀 없는 곳(산 정상 주변에 해자가 있고 능선 끝을 인위적으로 깎아 만든 부분도 있음)도 있는데, 그러한 곳을 '축제' 또는 '성지'라고 부른다. 존재했다고 믿어집니다.
여기에서 고찰할 수 있는 고지마을의 존재의의를 정리하겠다.
- 군사시설로서의 역할(많은 무기가 발견된 유적 포함)
- 철을 비롯한 물품 운송의 핵심인 교통로를 감시하는 역할
- 사회 계층, 불평등 등 계층 관계를 나타내는 심리적, 종교적 이유
야요이 시대에는 일본 열도만으로는 철을 덮을 수 없었다고 합니다.
고분시대 말기인 6세기 이전에는 한반도 남부에서 철재료를 채취하여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 추후 연구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서기 200년경에 고마루 유적(히로시마현 미하라시)이라는 제철소 유적이라고 전해지는 곳이 있습니다.
다음은 북부 큐슈-세토우치-키나이 만약 무력충돌이 있었다고 가정해보자. 북부 규슈에서는 철을 비교적 쉽게 구할 수 있었을 것이다. 직접 협상할 수 있는 길이 있는 것 같습니다.
실제로 한반도와 규슈 북부 사이에 위치한 누쿠토 섬에서는 한반도에서는 볼 수 없는 풍습인 '발치'를 한 인간의 뼈가 다수 발견된 것으로 보인다. 이 풍습은 일본 열도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그 골격이 북부 규슈에 살던 '와진'의 골격과 매우 유사하다고 합니다.
그러나 다른 지역에서는 그렇지 않습니다. 일종의 중재가 필요했던 것 같습니다. 지도를 보면 키비 한반도와 중국, 세토우치 기나이 사이에 위치한다. (오카야마 현 주변, 히로시마 현 동부, 가가와 현의 섬들, 효고 현 서부), 이즈모 (시마네 현 동부), 단바 지방 (교토 중심부, 효고현 북부, 오사카부 북부)가 그 사이에 있습니다.
'후대에서 보면' 모든 나라는 철과 매우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고, 이 시대에는 모두 큰 힘을 갖고 있다. 키비 또한 코마루 유적지 및 이즈모 가 포함됩니다. 국명의 어원이 단바 국 역사적 가나 표기법에서 "이즈모"즉 "이데테츠"라는 설도 있습니다 . 그러나 많은 철이 발견되었습니다.
철과의 인연이 깊어진 이유는 무엇인가요?
자연환경은 물론, 다른 지역보다 중국, 한반도와도 교류할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실제로 이들 국가에는 중국, 한반도와 교류했다는 증거가 많이 있다.
이것은 또 다른 질문을 제기합니다.
이때 이미 중국과 한반도에는 철 유통로가 구축되어 있었다.
한편, 생명을 위해 철을 얻으려면 그 대가가 얼마였습니까? 일본의 구니에는 무엇이 필요했나요? ??
규슈 북부-세토 내해-키나이에서 전쟁이 일어났다면 규슈 북부 밖에서 철을 구할 때 기비, 이즈모, 단바 국이 중재하지 않았을까?
당시 와코쿠에서 철을 얻기 위해 지불한 대가는 얼마였습니까? ??
거기에 옛 고분을 만들 수 있는 힌트가 숨겨져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철 이외의 특수 제품
철 이외의 특산품입니다.
<스트롱> 제이드 / 그린 응회암 기비, 이즈모, 단바 지방에서 귀중한 공 및 튜브 공 만들어져 있습니다. 단바에서는 수정구슬도 만들어졌다고 합니다. 소금은 기비의 특산품으로도 알려져 있습니다.
중국에서 오랫동안 소금은 서민과 부자들에게 꼭 필요한 독점물이었으며, 동한시대(25~220년)도 예외는 아니었습니다. 물론 재정적인 이유도 있지만, 말을 유지하는 데도 필요(=군력)가 필요했기 때문일 수도 있다.
지역에 따라 공이 다르게 생산됩니다. 석영은 현재 중국의 쓰촨성과 장쑤성이라고 불리는 지역에서 생산되지만 이는 이 지역의 작은 부분에 불과합니다. 나는 그것이 가치 있다고 생각한다. 한반도에서도 마찬가지로 가치가 있었습니다.
또한, 일본에서 생산되는 경옥은 중국이나 한반도에서는 구할 수 없습니다. 아시아에서 수확할 수 있는 지역은 거의 일본과 미얀마로 한정되어 있다고 합니다.
아마도 이러한 공 중심의 것들은 철로 교환될 것입니다 끝난거 아니었어? 혹은 생(포로 또는 노예) 입으로 보냈을 수도 있습니다.
또한, 일본 측에서는 철분 확보에 필요한 몇 가지 사항이 있다고 보고 있다.
- 철분을 확보하기 위한 협상 창
- 상대방의 신뢰를 얻는 입장
- 때로는 국군을 과시하는 것도 가능하다...등등
위와 같은 것들이 필요할 때 "농사 및 전투 지도자 "작은 사회에서는 "의 위치에 있는 사람들과만 협상이 더 어려울 것입니다. 불균일성을 높일 필요가 있습니다. 이런 과정에서 쿠니가 탄생했다고 생각하는 것은 당연하다.
그런 가운데 동해측에는 키비야, 이즈모 등 다이슈초라고 부를 수 있는 사람들이 나타나기 시작한다. 고분이라 불리는 무덤도 AD 2세대부터 목격됐다.
아마도 앞선 글에서 언급한 고산마을의 존재의의 중 하나인 '위계관계'의 심리적 측면이 봉분무덤에 영향을 미쳤을 것이다.
크고 높은 곳에 무덤을 지을 만큼의 '권한'이 있다는 것은 상대방의 신뢰를 얻을 수 있는 위치를 갖고 그만큼 많은 사람(=무력)을 동원할 수 있다는 뜻이다. 그렇지 않나요?
철분의 필요성이 나옵니다
↓
철창 필요
↓
상대방의 신뢰를 얻을 수 있는 입장
수석이 획득 권한을 부여합니다
↓
철을 얻는 족장에 대한 의존도 ↑↑
↓
무덤에서 권위를 보여주세요
↓
고분 시대로
아마 이랬을 것 같아요.
서기 57년 『나왕 금인』의 금인과 160개의 생구에 대한 묘사, 그리고 중국 역사서 『후한서』 동이에 기록된 후속 공물은 이러한 일련의 흐름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대외정책은 한국 남부에 대한 영향을 바탕으로 한 것으로 보인다.
참고 도서
"일본과 한반도 2000"
NHK '일한반도 2000' 프로젝트 2010
"구석기 시대, 조몬 시대, 야요이 시대, 고분 시대 열도 창세기" 마츠모토 다케히코 저, 쇼가쿠칸 2007